추석 당일 교통사고 사상자 평균 1151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

- 연휴기간 음주운전 사상자수는 18% 증가

서울--(뉴스와이어)--도로교통공단(이사장 주상용)에서는 최근 5년간 추석연휴기간의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하루 평균 508건 발생하여 14명이 사망하고, 985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연휴에는 사고발생빈도가 높은 도시 내 통행이 감소하여 사고건수가 평상시보다 줄어든 반면, 귀향·귀성에 따른 가족단위의 장거리 이동과 승차인원의 증가 등으로 평소보다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휴기간 중 추석 당일에 평균 1,151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연휴 첫 날 986명, 연휴 마지막 날 870명보다 더 많았다. 반면 발생건수는 연휴 첫 날이 581건으로 추석당일 492건, 연휴 마지막 날 447건보다 많이 발생했다.

음주운전사고는 시기적 특성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하루 평균 85건이 발생하여 평상시 78건보다 약 9% 많았으며, 음주운전으로 인한 하루 평균 사상자수 또한 169명으로 평소의 143명에 비해 약 18% 더 많았다. 평상시 40대 운전자에 의한 음주운전사고가 많았던 것과 달리 추석연휴에는 20대 젊은 층이 음주운전사고를 많이 발생시킨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휴기간 중 연휴 첫날 음주운전 발생건수 및 사상자수가 가장 많았다.

사고유형별로는 차대차사고 중 정면충돌사고와 추돌사고가 각각 5.6%, 26.8%로, 평상시 4.9%, 24.5%보다 상대적으로 늘어난 반면, 차대사람사고 중 횡단중사고는 8.8%로 평상시 10.3%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평상시에는 오후 6~8시가 12.6%로 가장 많았으나 추석연휴기간에는 낮 2~4시와 오후 6~8시가 각각 11.2%로 가장 많았다. 심야·새벽시간대(00~06시)의 경우, 평상시에는 15.7% 정도의 사고가 발생하였지만 추석연휴기간에는 20.6%로 높아져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층별로는 41~50세 운전자가 26.7%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교통사고를 냈으며, 또한 30세 이하 운전자에 의한 사고도 25.0%가 발생하여 평상시 20.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면허경과년수별로는 5년 미만의 운전자들에 의한 교통사고가 23.0%를 차지하여 경력이 적은 운전자들의 주의가 더욱 요망된다.

법규위반별로는 안전운전의무불이행이 55.3%로 가장 많았으며, 신호위반(11.4%), 안전거리미확보(10.4%), 중앙선침범(7.5%) 순으로 많이 발생했으며, 중앙선침범사고의 경우 평상시(6.4%)보다 추석연휴기간(7.5%)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김태정 통합DB처장은 “가족단위 이동이 많아 교통사고 건당 사상자수가 늘어나는 특성이 있는 추석연휴기간은 보다 신중한 운전이 필요한 시기이므로 교통법규 위반행위 및 음주운전 삼가는 물론, 출발 전 철저한 차량 점검 및 장거리 운행 시 규칙적인 휴식을 통해 스스로 교통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안전운전을 당부했다.

도로교통공단 개요
도로교통공단은 도로 교통 안전의 중심, 선진 교통 문화의 리더 도로교통공단은 공정한 운전 면허 관리와 교통 안전 관련 교육·홍보·연구·방송 및 기술 개발을 통해 교통사고 감소와 예방에 노력하는 준정부기관이다.

웹사이트: http://www.koroad.or.kr

연락처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통합DB처
02-2230-6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