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잎들깨’ 종자 서리피해 없이 채종하는 기술 개발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은 서리 내리는 시기를 피해서 안정적으로 잎들깨 종자를 채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잎들깨는 대부분 극만생종으로 종자가 완전히 성숙되기 전에 서리피해를 받기 때문에 우리나라 남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종자 채종이 어렵다.

남부지역에서 잎들깨는 6월말에 파종을 해서 개화 30∼40일 후에 수확을 한다. 밀양지역의 첫서리가 오는 시기는 10월 하순경으로 서리피해를 받으면 수분함량이 30∼40%로 높은 들깨종자는 동해를 입어 종자 품위가 떨어지고 발아도 불량하게 된다.

따라서 노지 상태에서 건전한 잎전용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비가림 시설을 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농진청은 잎들깨 ‘남천’ 품종을 밀양지역에서 10월 중순부터 11월 상순까지 5일 간격으로 수확한 다음 건조 후의 발아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율이 높았는데, 10월 중순경 수확에서는 발아율이 79%로 낮았으나 10월 하순경 이후 예취시 발아율이 89% 이상으로 높았다.

하지만 서리피해를 입은 종자의 경우 출아율이 64%로 급격히 낮아졌다.

따라서 종자가 생리적으로 성숙이 되는 10월 20일경에 채취하면 서리피해를 막을 수 있어 발아율이 높은 잎들깨 종자를 안전하게 채종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두류유지작물과 백인열 과장은 “잎들깨는 수확 후 반드시 충분히 건조시킨 후 사용해야 발아에 문제가 없으며, 또한 보급종이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해 종자 확보를 위해 지역 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해 집단 채종포 확보 등을 모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두류유지작물과
백인열
055-350-121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