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서울--(뉴스와이어)--'11.8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Ⅰ. ’11.8월말 기준 고용동향

1. 근로자 동향

(종사자) 종사자수는 13,790천명으로 전년동월(13,595천명)대비 194천명(1.4%) 증가
▶ 상용근로자: 10,976천명, 전년동월(10,675천명)대비 300천명( 2.8%) 증가
▶ 임시·일용근로자: 1,837천명, 전년동월( 1,975천명)대비 138천명(-7.0%) 감소
▶ 기타종사자: 977천명, 전년동월( 945천명)대비 32천명( 3.4%) 증가
※ 기타종사자: 일정한 급여 없이 봉사료 또는 판매실적에 따라 판매수수료만을 받는 자와 업무를 습득하기 위하여 급여 없이 일하는 자

(규모별) 상용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수는 2,328천명으로 전년동월(2,265천명)대비 2.8%(62천명) 증가하였으며, 300인 미만 사업체의 종사자수는 11,462천명으로 전년동월(11,330천명)대비 1.2%(132천명) 증가

(산업별) 전년동월대비 종사자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제조업(59천명)이며,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15천명)은 가장 많이 감소

2. 빈 일자리

빈 일자리수는 92천개로 전년동월(133천개)대비 41천개(-31.0%) 감소, 빈 일자리율은 0.7%로 전년동월(1.0%)대비 0.3%p 감소
▶ 상용직: 빈 일자리수 79천개, 전년동월(101천개)대비 21.8% 감소, 빈 일자리율 0.7%, 전년동월(0.9%)대비 0.2%p 감소
▶ 임시·일용직: 빈 일자리수 13천개, 전년동월(32천개)대비 59.5% 감소,빈 일자리율 0.7%, 전년동월(1.6%)대비 0.9%p 감소
※ 빈 일자리: 현재 비어있거나 비어있지 않더라도, 구인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 달 이내 일이 시작될 수 있는 일자리
※ 빈 일자리율: 전체근로자수와 빈 일자리수의 합 대비 빈 일자리수

빈 일자리 1개당 실업자수(실업자수/빈 일자리수)는 8.1명으로 전년동월(6.1명)대비 2.0명 증가

3. 노동이동

입직률은 4.3%로 전년동월(3.8%)대비 0.5%p 증가, 이직률은 4.3%로 전년동월(4.2%)대비 0.1%p 증가

자발적 이직자는 292천명으로 전년동월(307천명)대비 15천명(-4.9%) 감소, 비자발적 이직자는 219천명으로 전년동월(194천명)대비 25천명(12.7%) 증가
▶ 상용근로자: 입직률 2.1%, 전년동월(2.5%)대비 0.4%p 감소이직률 2.2%, 전년동월(2.4%)대비 0.2%p 감소
▶ 임시·일용근로자: 입직률 17.5%, 전년동월(10.9%)대비 6.6%p 증가이직률 17.0%, 전년동월(13.8%)대비 3.1%p 증가

Ⅱ. ’11.7월 급여계산기간 기준 임금 및 근로시간

1. 임금 동향

(임금총액) '11.7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898천원으로 전년동월(2,880천원)대비 0.6% 상승

(정액급여)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정액급여는 2,344천원으로 전년동월(2,232천원)대비 5.0% 상승

(초과·특별급여)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초과급여는 182천원으로 전년동월(197천원)대비 7.2% 하락하였으며, 특별급여는 553천원으로 전년동월(689천원)대비 19.8% 하락

(산업별) 월평균 임금총액이 가장 많은 산업은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4,822천원, 전년동월대비 6.0% 상승)이며, 가장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638천원, 전년동월대비 13.7% 상승)으로 나타남
※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은 상용근로자의 정액급여 및 특별급여가 다른 산업에 비해 높고, 숙박 및 음식점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정액급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규모별) 상용근로자 5~300인 미만 사업체의 임금총액은 2,534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7% 상승하였으며, 300인 이상 사업체는 4,350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5% 하락
※ 300인 이상 규모의 임금총액 하락은 특별급여가 감소한 데 기인함

2. 근로시간

(총근로시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79.0시간으로 전년동월(183.3시간)대비 2.3% 감소
▶ 상용근로자: 184.6시간, 전년동월(191.5시간)대비 3.6% 감소
▶ 임시·일용근로자: 128.2시간, 전년동월(121.4시간)대비 5.6% 증가

(소정실근로시간)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소정실근로시간은 170.8시간으로 전년동월(174.8시간)대비 4.0시간(-2.3%) 감소

(초과근로시간)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초과근로시간은 13.8시간으로 전년동월(16.7시간)대비 2.9시간(-17.4%) 감소

(산업별) 총근로시간이 가장 긴 업종은 부동산업 및 임대업(196.5시간, 전년동월대비 4.8% 감소)이며, 가장 짧은 업종은 건설업(154.5시간, 전년동월대비 3.6% 증가)임

(규모별) 상용근로자 5~300인 미만 사업체의 총근로시간은 179.6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2.3% 감소하였으며, 300인 이상 사업체는 177.0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2.3% 감소

< 사업체노동력조사 개요 >
조사목적 : 노동수요측의 고용동향 및 근로실태(임금 및 근로시간)특성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정책개발 등에 활용
조사대상 : 비농 전 산업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중 28,000개 표본사업체
조사내용 : 현원, 빈 일자리수, 입직, 이직, 임금, 근로시간 등
조사기준 : 8월 마지막 영업일(임금·근로시간: 7월 급여계산기간)

고용노동부 개요
고용노동부는 고용정책의 총괄,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평등과 일 가정의 양립 지원, 근로 조건의 기준, 근로자 복지후생, 노사관계의 조정, 노사협력의 증진, 산업안전보건, 산업재해보상보험 등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다. 조직은 장관과 차관 아래에 기획조정실, 고용정책실, 통합고용정책국, 노동정책실, 직업능력정책국, 산재예방보상정책국, 공무직기획이 있다. 소속 기관으로는 6개 지방고용노동청, 40개 지청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고용노동부 노동시장분석과
사무관 김재훈
02-2110-708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