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 공생발전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개최

서울--(뉴스와이어)--글로벌 금융과 재정 위기, 청년실업과 고용불안, 시장지배와 불공정거래 등은 국가의 지속발전을 위해 왜 공생발전이 필요한가?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특히 최근 스마트 미디어 환경은 콘텐츠산업의 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기기, 솔루션, 콘텐츠, 네트워크에서 대·중소 기업 간의 동반성장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인식 하에 이번 토론회에서는 콘텐츠산업의 공생발전을 위해 전문가 발제와 함께 업계 대표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콘텐츠산업 발전방안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광식)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이재웅)이 주관하는 <2011 콘텐츠산업 공생발전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가 오는 11일 오후 2시에 상암동 문화콘텐츠센터 2층 콘텐츠홀에서 개최된다. <과거와 현재를 넘어, 미래로>라는 부제가 붙은 이번 토론회에서는 이장우 경북대 교수이자 동반성장위원이 “한국형 동반성장 모델과 공생발전 전략”에 대한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콘텐츠산업 환경을 둘러싼 4개 분야에 대해 각각 주제 발표를 한다. 방송인 박정숙 경희대 교수가 전체 토론회를 진행한다.

먼저 김민규 아주대 교수는 “창조기업과 창의인력 간의 공생 고용”에서 기업과 근로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표준계약, 임금체불, 스태프 처우 문제 등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안을 제안한다. 토론은 박창식 드라마제작사협회장, 홍종구 연예매니지먼트협회 부회장, 강익희 한국콘텐츠진흥원 수석연구원이 맡는다. 두 번째 주제인 “대기업의 시장 독과점 완화와 공정거래”에 대해 정헌일 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실장은 영화와 음악산업의 불공정거래 사례를 통해 시장경쟁상황에 대해 적극 모니터링하고 민관이 협력하는 공정거래협의체가 운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토론은 고정민 한국창조산업연구소장, 최봉현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정호교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사무국장이 맡는다.

한편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의 공생발전”에 대해 경희대 이경전 교수는 기기, 솔루션, 콘텐츠, 네트워크 영역의 무한경쟁 하에 윤리경영, 상생번영으로 진화하는 새로운 시장경제 상황에서 Open Business Model을 토대로 공생발전에 대해 발표한다. 토론은 서황욱 구글코리아 이사, 이계수 KT경제경영연구소 상무, 정용환 제이엔지오에이 대표가 참여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 김진규 차세대콘텐츠본부장은 “콘텐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중소 기업 동반성장 활성화”에 대한 정부와 기업 간의 롤 모델을 제시한다. 토론에는 박동욱 삼성전자 미디어솔루션센터 상무, 정광섭 페타프레임 대표, 함규식 콘텐츠스퀘어 대표가 참여한다.

글로벌 경쟁 하에서 국내 기업들의 공생발전은 필수불가결한 선택이다. 서로 다른 기업들과 상호보완적인 협력관계를 유지·발전시켜 나갈 때 산업 내 왜곡뿐만 아니라 진정한 성장동력으로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장기적인 시각에서 콘텐츠산업의 성장이 지속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길 기대한다.

한국콘텐츠진흥원 개요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콘텐츠 전 분야를 아우르는 총괄 진흥기관으로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세계5대 콘텐츠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하고 있으며, 모바일콘텐츠2009 컨퍼런스&어워드를 진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cca.kr

연락처

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분석팀
02-3153-3015

이 보도자료는 한국콘텐츠진흥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