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콘텐츠진흥원, 11일 문화콘텐츠센터에서 콘텐츠산업 공생발전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개최

서울--(뉴스와이어)--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광식)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이재웅)이 주관하는 <2011 콘텐츠산업 공생발전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가 11일 오후 2시 상암동 문화콘텐츠센터 2층 콘텐츠홀에서 열렸다. <과거와 현재를 넘어, 미래로>라는 부제가 붙은 이번 토론회에서는 글로벌 경제 위기, 청년 실업과 고용 불안, 시장 지배와 불공정 거래 환경 하에서 국가의 지속발전을 위해 콘텐츠산업에서 왜 공생발전이 필요한가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기조발제를 맡은 이장우 경북대 교수는 ‘한국형 동반성장 모델과 공생발전 전략’을 주제로 혼자 빨리 가기보다 함께 멀리 가는 한국형 동반성장 모델을 3가지 실천원리로 설명했다. 즉 신바람 문화와 같은 한국인 특유의 잠재력 활용, 정부와 기업이 융합하는 독창적인 정책 개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견실한 사회생태계 조성이 공생발전을 가능케 한다고 강조했다.

‘창조기업과 창의인력 간의 공생 고용’을 발표한 김민규 아주대 교수는 대중연예산업에 발생하는 표준계약서, 수익배분, 스탭의 노동환경 등의 분쟁사례를 언급하면서 최근 케이팝으로 인해 대중 연예인들의 위상이 높아진 만큼 정부차원에서 글로벌 환경에 맞는 규제와 콘텐츠 유통을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대기업의 시장 독과점 완화와 공정거래’에 발제한 정헌일 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실장은 영화와 음악산업의 불공정거래 사례를 들면서 <문화산업진흥법>에 명시된 불공정거래 및 경쟁상황에 대해 민관 공정거래협의체를 운영해 적극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공정위와 적극 연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의 공생발전’에 대해 경희대 이경전 교수는 기기, 솔루션, 콘텐츠, 네트워크 영역의 무한경쟁 하에서의 공생 이슈로 스마트 미디어 플랫폼사와 콘텐츠사 간의 경쟁모델 및 수익배분 문제를 들었다. 또한 공생발전 하려면, 최종 고객에게 서비스 품질로 승부하는 “출판 후 여과” 방식의 개방형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함으로 역설하였다.

마지막으로 김진규 한국콘텐츠진흥원 차세대콘텐츠본부장은 ‘콘텐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중소 기업 동반성장 활성화’에 대해서 올해 문화부에서 실시한 차세대 콘텐츠 동반성장 지원사업이 정부와 기업 간의 좋은 모델로서 콘텐츠 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접근이 수평적 파트너십으로 활성화 될 필요성이 있음을 역설했다. 이에 SK텔레콤과 동반성장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는 정용한 제이엔지오에이 대표는 “스마트폰용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지만, SKT가 구축한 크로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어 콘텐츠 유통이 훨씬 수월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글로벌 경쟁 하에서 국내 기업들의 공생발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전략이다. 서로 다른 기업들과 상호보완적인 협력관계를 공생발전이라는 공동 목적에 맞추어 실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산업내의 왜곡과 선점자의 개방 노력 등이 실천화된다면 장기적인 차원에서 콘텐츠산업이 지속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란 확신을 모색한 자리였다.

한국콘텐츠진흥원 개요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콘텐츠 전 분야를 아우르는 총괄 진흥기관으로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세계5대 콘텐츠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하고 있으며, 모바일콘텐츠2009 컨퍼런스&어워드를 진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cca.kr

연락처

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분석팀
02-3153-3015

이 보도자료는 한국콘텐츠진흥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