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A에 이색적인 해외도시 참가로 관심 폭발
78곳 모두 고유의 특성이 있고 자신의 문화에 대한 자긍심뿐만 아니라 환경문제 인식이 매우 높은 도시이지만 3가지 측면에서 알아보면 쉽다.
먼저, 환경우수도시이다. ▲쿠리치바(브라질)는 지구촌에서 가장 완벽한 녹색도시 모델로서 도시확장을 엄격히 통제하고 차량의 승·하차 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불필요한 엔진 공회전을 방지하여 대기오염을 약30% 저감시키는 도시 ▲알미르(네델란드)는 기존의 쓰레기 수거방식 대신 쓰레기를 투입구에 버리면 지하매설 관로에 흐르는 고속의 공기와 함께 중앙 집하시설로 운반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을 갖춘 도시 ▲센안토니오(미국)는 약 4㎞의 리버워크가 있는 도시내 수변공간 개발을 성공한 도시 ▲겐트(벨기에)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1주일에 한번씩 육고기 대신 ‘채식을 하는 날’을 시행하고 있는 도시 ▲사카이(일본)는 건물 인공배열의 축소, 건물 지표면의 고온화 억제, 나무 수면 등의 냉각 작용의 활용, 라이프스타일 등의 개선 등의 정책을 시행하는 도시 ▲싱가폴(싱가폴)은 ‘클린 앤 그린 싱가포르’라는 환경운동으로 철저한 계몽활동, 많은 금액의 벌금 부과로 시민의 환경의식을 제고하는 도시 ▲류저우(중국)는 국가원림 도시, 전국 순환경제도시, 국가 위생도시로서 환경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들 도시 외 우시(중국), 일로일로(필리핀), 오클랜드(뉴질랜드), 살롱쉬르손(프랑스) 등도 환경적으로 그 명성이 매우 높은 도시이다.
다음으로는 이색적 특성이 있는 도시이다. ▲얄타(우즈베키스탄)는 짜르(황제)의 와인이 생산되었던 도시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우리에게는 2차 세계대전 말기에 우리나라 독립과 신탁문제가 거론된 얄타회담으로 인식되는 도시 ▲페루자(이탈리아)는 2002년 반지의 제왕으로 이름 붙어진 안정환 축구선수가 2005년도에 소속팀으로 뛰었던 구단이 있는 도시 ▲웰링턴(뉴질랜드)은 우리 모두가 즐겨부르는 ‘비바람이 치는 바람, 잔잔해져 오면~’이라는 ‘연가’와 가 탄생된 뉴질랜드 수도 ▲센다이 市(일본)는 2002년에, 아보메이 市(베냉)은 2010년도에 광주시와 자매결연을 맺은 도시로 매년 정기적인 교류를 하고 있는 도시이다.
세 번째로는 오랜 역사와 문화가 있는 도시를 들 수 있다. ▲카불(아프가니스탄)은 300년 역사를 가진 수도이며 실크로드 동서 교통의 요충지로 문명의 십자로로 유명한 도시 ▲페낭(말레이시아)은 15~17세기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국제 무역항으로서 풍부한 문화유산이 많아 대한민국의 경주에 견주 되는 도시 ▲앙카라(터키)는 과거 앙고라라는 털깍이용 염소가 많아서 앙고라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6.25 전쟁때 UN군으로 참전한 기념탑이 있는 도시 ▲엘리스타(러시아)는 인구는 11만명으로 소도시이지만 1865년에 몽골인이 세운 유럽 최대의 불교사원이 있는 도시이다.
광주시는 이러한 해외 참가도시 정상들에게 광주시의 산뜻하면서도 따뜻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금번 정상회의에서 의전, 회의, 리셉션 등 각 분야에 대하여 리허설 등 최종 점검을 끝내고 12일 개막식을 기다리고 있다.
한편 10일 러시아 대표단의 첫 입국을 시작으로 12일 개막식에는 78개 해외도시 정상과 대표단들을 만나볼 수 있다.
시 관계자는 금번 UEA 광주정상회의에 참여하는 해외 도시 중 이름은 생소할 수 있으나 그 도시와 관련된 사실을 하나 둘 연관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고 하면서 시민 모두 이번 회의에 참가하는 해외 도시에 관심과 사랑을 가져주기를 당부하였다.
광주광역시청 개요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윤장현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가고 있다. 더불어 사는 광주, 사람중심 생명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wangju.go.kr
연락처
UEA광주정상회의 기획단
홍보팀장 전은옥
062-611-3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