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축산식품 안전관리 국제심포지엄 개최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은 축산식품과 관련해 소비자의 신뢰를 구축하고 소비촉진을 통한 관련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축산식품 안전관리’에 관한 국제심포지엄을 13일,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성환)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식품안전 관련 사고들로 인해 축산식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 축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는 70% 수준으로 나타났으며(주부연합, 2011. 7), 이는 소비의 부진과 관련산업의 위축을 야기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소비자 지향적 축산식품 안전관리(미국 포트밸리대학교 박영우(Young W. Park) 교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진단기술 개발동향(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줄리안 콕스(Julian M. Cox) 교수) △식품 중 위해물질의 안전평가 체계(식품의약품안전청 권기성 화학물질과장) △축산식품의 위해요소 신속진단과 제어기술(국립축산과학원 오미화 안전기능실장) 등에 대한 주제발표가 있다.

이들은 현재 미국과 호주 등 외국 소비자들이 축산식품을 소비할 때 고려하는 요구를 파악하고, 잔류화학물질과 위해미생물의 신속검출 방법에 대한 최신 기술개발 현황에 대해 소개하는 한편,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식품 중 위해물질 안전평가 체계, 분석기술 개발현황과 국립축산과학원의 축산식품 중 위해미생물의 신속진단, 제어기술 개발현황에 대한 발표도 있을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장원경 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이 축산식품의 안전성 증진을 위한 진단과 제어기술의 선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축산물이용과
설국환 연구사
031-290-169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