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인포메이션, 전자 애플리케이션용 탄소나노튜브·그래핀 관련 보고서 발표

서울--(뉴스와이어)--(주)글로벌인포메이션(www.giikorea.co.kr)은 IDTechEx가 최근 “전자 애플리케이션용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2011-2021년)”(http://www.giikorea.co.kr/ce/208506.php) 보고서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10여 년 전만해도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s)의 상용화는 시기상조였으나, 앞으로 컴퓨터와 디스플레이, 태양광발전 및 플렉서블 일렉트로닉스(Flexible Electronics) 등 다양한 용도에 ‘그래핀(Graphene)’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IDTechEx 보고서에 따르면, CNT 및 그래핀 트랜지스터는 2015년 이후 대량 생산될 것으로 예측된다. CNT 및 그래핀은 프린티드 일렉트로닉스(Printed Electronics) 부문에 가장 큰 성장 기회가 보이며, 이러한 소재를 결합한 디바이스 시장 규모는 2021년 미화 44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비교적 단기간에 대량의 그래핀 소재가 상품화되면서, 새로운 소재의 진화와 응용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CNT와 비교하면 그래핀은 매우 가볍고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여러 용도에서 탄소나노튜브나 ITO(산화인듐주석)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투명 디스플레이 관련 응용으로 인해 그래핀은 향후 수요가 급증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투명 디스플레이는 미국 라이스대학(Rice University) 등에서 개발되고 있는 플렉서블 전자부품 및 투명 전자부품과 결합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컴퓨터 및 태양전지 등 획기적인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IDTechEx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와 태양광발전만으로 2011년 시장 규모가 미화 250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이는 그래핀 사용도 포함한다.

그래핀과 그 화합물은 새로운 가공 공정을 통해 재료 생산 비용이 하락할수록 트랜지스터에서의 이용이 증가되고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다. 그래핀 트랜지스터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의 뒤를 이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핀은 실리콘보다 빠르게 전자를 통과시키기 때문에 테라헤르츠(THz)급 컴퓨팅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 애플리케이션용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2011-2021년)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for Electronics Applications 2011-2021

글로벌인포메이션 개요
글로벌인포메이션(GII)은 세계 5개국에 위치한 자체 네트워크를 통하여 비즈니스 파트너인 전 세계 250여 주요 리서치회사의 최신 시장조사보고서 및 기술동향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맞춤형 시장조사를 수행하는 지식정보 제공 전문회사이다. 또한 전 세계 각국에서 개최되는 국제컨퍼런스, 전시회 및 세미나와 관련된 정보 제공과 함께 참가신청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고객의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고 새로운 사업 기획과 추진에 꼭 필요한 최고급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며 모든 산업에 필요한 정보가 잘 활용될 수 있도록 공헌하는 것이 당사가 추구하는 경영이념이다.

상세 목차:: http://www.giikorea.co.kr/ce/208506.php

웹사이트: https://www.giikorea.co.kr

연락처

(주)글로벌인포메이션 마케팅팀
02-2025-299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