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하순, 산악 및 농기계 안전사고 가장 많이 발생
최근 3년(‘08~‘10년)간 국립공원 산악안전사고 통계분석결과, 산악안전사고의 경우 총 2,21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이 중 10월 중에 가장 많은 312명(14.1%)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방객이 많은 북한산에서 가장 많은 538명(27.1%), 다음으로 설악산 461명(23.2%), 지리산 356명(18.0%)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최근 3년간 농기계 안전사고 관련 119 구조·구급 통계자료에 따르면 농기계 안전사고로 총 1,318건, 82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이중 가장 많은 138명(16.7%)이 10월에 발생하였고, 주로 60대(29.3%)가 경운기(71.7%)를 운전하는 중에 부주의(76.7%)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악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산행 전에 산행코스, 난이도 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입수한 후 자신의 체력에 맞는 산행계획을 수립하고, 늦어도 해지기 한 두 시간 전에는 산행을 마쳐야 하며 낙뢰 등 기상특보 시 산행을 자제하고, 출입금지구역 등은 출입을 금하며, 안전한 등산로를 이용하여야 한다.
또한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도로를 주행하는 농기계는 등화장치를 부착하고, 절대 음주운전을 하지 말아야 하며 트레일러의 폭이나 길이를 초과하여 짐을 적재하지 않도록 하고 커브길 등에서는 지면상황을 잘 살핀 후 저속으로 운행해야 한다. 트랙터·경운기 등을 이용한 경사지 작업시에는 전복에 주의하여야 하며 농기계를 수리할 때에는 반드시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소방방재청은 농림수산식품부, 산림청 등 유관기관과 지자체별로 위험요인 제거, 캠페인 전개, 전광판 등을 활용한 예방 및 홍보활동을 다각적으로 시행하도록 하는 한편, 무엇보다 국민스스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등산이나 농기계를 이용한 작업시 반드시 안전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소방방재청 개요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 재난관리 전담기구이다. 전신은 행정자치부 민방위재난통제본부이다. 조직은 청장, 차장과 재난종합상황실,예방안전국, 소방정책국, 방재관리국, 119구조구급국,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하기관으로 중앙119구조대, 중앙민방위방재교육원, 중앙소방학교가 있다.
웹사이트: http://www.nema.go.kr
연락처
소방방재청 재난상황실
2100-5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