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음식물쓰레기 전년 동기대비 1일 47t 줄어

대전--(뉴스와이어)--대전시가 지난 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시행 1주일이 지나면서 서서히 정착되고 있다.

12일 시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실시에 따른 납부필증 부착율이 공동주택은 100%, 단독주택은 90%로 나타났으며, 음식물쓰레기 발생은 전년 동기 대비 1일 47톤(12.4%)이 감량됐다고 밝혔다.

시행초기에 소형용기 배부 지연(서구, 유성구)과 납부필증의 일시적 품귀현상으로 시민들이 불편을 겪기도 했으나, 시행 1주일이 지나면서 소형용기와 납부필증 문제가 대부분 해결돼 이제 안정화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대전시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초기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동별 현장 모니터링과 홍보활동을 펼쳤으며, 쓰레기 수거요원들은 경고장 부착 등 안내 위주로 계도해왔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10일부터 각 자치구별로 불법 배출행위에 대해 집중단속을 펼치는 가운데 위반자는 과태료를 부과하고 납부필증이 부착되지 않은 용기는 수거를 하지 않는 등 쓰레기종량제가 조기 정착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해 나갈 방침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성공적으로 정착될 경우 20%이상의 감량효과를 거둬 종량제 시행 초기 일부 증가된 수수료 부분이 상쇄되고 연간 40여억 원의 처리비용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며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시는 공동주택에 대해 현재 단지별 종량제를 아파트 동별 종량제로 확대 시행해 음식물 쓰레기를 적게 배출하는 아파트를 선정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공동주택감량 인센티브제’를 운영할 계획이다.

대전광역시청 개요
대전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염홍철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습니다. 대전시는 대전엑스포, 정부대전청사 유치, 유성 관광특구 지정,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정, 현행 대전역 인근의 고속철도 주변 정비사업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해 왔습니다. 또한 버스준공영제와 전국이 부러워하는 복지만두레 시책으로 서민들에게 큰 혜택을 주고있으며, 대전지하철시대 개막, 100년만의 동서관통도로 개통, 각종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및 도심공원화 사업도 착실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염홍철 시장은 대전경제를 위해 서비스산업의 고도화, 의료웰빙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미래 성장동력산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metro.daejeon.kr

연락처

대전광역시 자원순환과
담당자 이문섭
042-600-364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