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9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 이용자 작년 보다 20% 증가
응급의료정보 서비스 이용 분야 분석 결과, ▴호흡곤란이나 지혈 등의 응급처치지도 8만2,020명, ▴질환에 대한 증상문의 및 치료방법 등 상담 5만7,173명, ▴질환에 맞는 적정한 병원이나 휴일 및 야간 공휴일 개문 안내 연결 21만109명, ▴상담 도중 상태가 위급하여 구급차 출동 연결 157명, ▴업무문의 사례 597명 등 총 35만56명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같은 기간 총 이용자수는 총 29만1,273명이었다.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http://www.1339se.or.kr/)는 지난 1월부터 시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응대시간 단축을 위한 문자서비스를 시행해 보다 많은 이용자에게 향상된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난 8월부터는 기존에 영어·중국어·일어 등 3개 국어로 제공하던 의료통역서비스를 베트남어와 몽골어를 추가해 총 5개 국어로 서비스하고 있다.
서울시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과 사업 등으로 체류하는 외국인을 위해 도입한 기존 3개 국어(영, 중, 일) 응급의료통역서비스 외에 다문화가정 및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베트남어와 몽골어 서비스를 지난 8월 1일부터 제공하고 있다.
언어별 이용자는 올 9월말까지 영어 3,209명, 중국어 584명, 일본어 376명, 베트남어 53명, 몽골어 7명, 총 4,229명이 이용, 지난해 같은 기간 3,940명이 이용한 것에 비해 7.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 : 지난 5월 초 서울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4세 딸아이의 열이 내리지 않아 1339에 도움을 요청하여 숙소에서 가까운 의료기관 안내와 의료통역서비스를 통해 환자상태 재확인 등의 도움을 받아 치료를 하고 중국으로 돌아간 뒤 1339에서 받은 따뜻한 마음과 친절한 도움에 대한 감사의 편지를 전해 왔다.
방문한 의료기관이나 지방에서 적절한 진료가 되지 않는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간 이송 건수도 2010년 9월 719건에서 2011년 9월 1,067건으로 48%이상 증가했다.
또한, 119구급대원이 현장에서 요구하는 의료지도와 진료병원안내, 응급의료정보에 대한 제공도 2010년 9월 1,163건에서 2011년 9월 2,095건으로 전년 동기간에 비해 88%이상 크게 증가했다.
사례 : ’11년 7월 27일(수) 10시40분경 서울시 동작구 사당동에서 75세 남자 환자(의식이 없고 심폐소생술 중)를 이송 중이던 119구급대원이 진료가능병원을 문의한 사항에 대하여 심혈관질환이 의심돼 00성모병원으로 이송 안내하고 00성모병원 응급실에 환자진료 준비를 요청해 신속한 진료가 가능하게 했다.
‘1339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는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중증외상, 사지접합, 중증화상, 복부손상 등 11개 질환의 중증응급환자 적시 진료 정보를 제공하는 ‘중증응급환자 실시간 정보 상황판’을 6월1일부터 운영해 9월말 현재 3,026명이 이용했다.
또한 일반인, 의료기관, 119구급대가 항상 ‘중증응급환자 실시간 정보 상황판’을 이용해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24시간 관리·모니터링하고 있다.
사례 : 2011년 7월 30일 새벽 5시40분 경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에서 53세 남자가 왼쪽 편마비 증상이 나타나 거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도움을 요청한 사항에 대하여 중증응급환자 실시간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인근의 00서울병원으로 안내하였고, 환자는 뇌졸중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았다.
한편, ‘1339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는 응급의료서비스 콜센터로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 의료전문가가 365일 24시간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의료기관은 언제든지 응급환자의 전원정보 및 응급의료정보를 얻을 수 있고, 119구급대원은 현장 의료지도나 수용 가능한 병원을 안내받을 수 있다.
모현희 서울시 보건정책과장은 “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1339)가 보다 높은 품질의 전문성 있는 상담서비스를 제공, 시민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도록 노력하여 서울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복지건강본부
보건정책과 이병철
02-3707-5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