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연구소, 망분리 솔루션 ‘트러스존’ 기술 특허 획득

- 특허 기술명 ‘호스트 기반의 망분리 장치 및 방법’

- 망분리 구축 비용 줄이고 사용 효율 높이는 효과

뉴스 제공
안랩 코스닥 053800
2011-10-20 10:29
서울--(뉴스와이어)--글로벌 통합보안 기업인 안철수연구소(대표 김홍선, www.ahnlab.com, 약칭 ‘안랩’)는 20일 망 분리 솔루션 ‘트러스존(AhnLab TrusZone)’에 적용된 기술이 국내 특허를 획득하고 PCT 국제 특허(보충설명)를 출원했다고 발표했다.

‘트러스존’은 안철수연구소가 축적한 최고 수준의 보안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력이 융합된 제품이다. 최근 중요 정보를 보유한 정부, 공공, 금융 부문에서는 정보 유출과 해킹으로부터 중요 IT 인프라 및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업무망과 인터넷망을 분리하는 것이 현안 과제이다. ‘트러스존’은 한 PC에서 내외부 업무를 모두 볼 수 있는 논리적 망분리 제품이다. 편리하게 인터넷을 사용하면서도 보안 위협에 대비할 수 있게 해준다.

이번 특허 기술은 ‘호스트 기반의 망분리 장치 및 방법’으로서 업무를 위한 사내망과 인터넷 접속을 위한 외부망이 동시에 연결되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추가 망 구축이나 서버의 증설 없이도 망 분리를 가능케 한다. 또한 논리적 망분리의 효율을 높여준다.

즉, 호스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프로세스)들이 사내 또는 사외 망을 사용할 때, 시스템에 영향을 주거나 해당 프로세스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미리 설정된 망으로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물리적 망분리 제품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고, 컴퓨터 사용을 원활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물리적 망분리 제품은 분리된 네트워크 망과 SBC(서버기반컴퓨팅)를 지원하기 위한 서버 증설이 필요하다. 또한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하는 서버 상의 가상 PC에서 작업을 하므로 상대적으로 컴퓨팅 성능이 많이 떨어진다. 또한 다른 논리적 망분리 제품에 비해서도 효율이 높다.

특허 기술이 탑재된 ‘트러스존’은 지난 8월 CC인증을 획득했으며, 우정사업본부 구축을 진행 중이다. 이번 특허 획득으로 공공, 금융권 공급에 활력이 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안랩 개요
안랩(www.ahnlab.com)은 1995년 3월 창립된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서 세계적 수준의 보안 기술력과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제품 및 서비스 역량을 갖춘 신뢰도 높은 기업이다. 설립 이래 꾸준히 성장해 2012년에 국내 패키지 소프트웨어 업계 최초로 매출 1000억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세계적으로 정보보안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1988년부터 쌓은 정보보안 노하우를 기반으로 시장을 개척해왔으며, 국내 보안 업체 중 유일하게 5대 국제 인증을 모두 획득해 글로벌 기업들과 대등한 기술력으로 경쟁하고 있다. 네트워크 및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 보안 컨설팅, 보안 관제 등 최신 보안 위협에 다층적인 해법을 제공한다. 지능형 지속 위협(APT)에 대응하는 트러스와처, 디도스 등 네트워크 침입을 탐지/차단하는 트러스가드, 모바일 및 PC용 악성코드를 진단/치료하는 V3가 대표적 제품군이다.

웹사이트: http://www.ahnlab.com

연락처

안철수연구소 커뮤니케이션팀
황미경 부장
02-2186-6033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