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상암DMC 내 영화창작공간 입주할 감독·PD 지원자 149명 중 40명 선정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가 한국영화의 기획·개발부터 제작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기 위해 상암DMC 내에 조성한 영화창작공간에 입주할 감독·PD 40명이 선정됐다.

영화창작공간은 영화감독과 프로듀서에게 효율적인 작업 공간과 환경을 제공하며 2008년 개관 이후 해마다 입주지원 신청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번 입주자 모집에도 149명이 지원을 해 3.7: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번에 선정된 인원은 기성감독 9명, 신인감독 6명, 그리고 프로듀서 25명 등 총 40명이다.

이번에 선정된 입주자 중에는 우선 신인감독 이원회의 이력이 눈에 띈다. 올해 만 25세인 그는 영화창작공간 조성 이후 최연소 입주자로, <가제-소설>로 제3회 서울세계단편영화제 동상과 <원고지>로 제6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SIYFF시선상을 수상하는 등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되는 인물이다. 이는 ‘될성부른 나무’를 초기부터 지원해 우수 영상 인력을 적극 육성하겠다는 서울시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또한 기성감독으로는 홍기선 감독과 김명준 감독의 작품 활동도 기대가 된다. 최근 이태원 살인사건의 진범이 잡히면서 영화가 새롭게 조명 받고 있고 있는 <이태원 살인사건>의 홍기선 감독은 이번에도 역시 실화를 모티브로 한 차기작 <별이 되어 떠난 님>을 준비 중이며, 홋가이도 조선학교 아이들의 희망학교를 다뤘던 2006년 장편다큐 <우리학교>로 흥행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던 김명준 감독은 다큐멘터리 <슬픈 전설, 재일동포 야구단>을 준비 중이다. 두 작품 모두 리얼리즘의 시선으로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통찰력이 탁월한 감독의 작품으로 많은 기대가 된다.

이 외에도 <황진이>, <접속>으로 잘 알려진 중견감독 장윤현 감독, <심야의 FM>의 김상만 감독, <헬로우 고스트>, <추격자>의 최문수 PD, <내사랑 내곁에>, <6년째 연애중>의 이정환 PD 등 다양한 면면의 입주자들의 활약이 기대된다.

선정자는 11월 초 입주해 앞으로 최대 1년간 창작활동을 진행하게 되며, 창작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소재개발 지원을 받는 것 뿐만 아니라 입주자간의 교류를 통해 정보교류와 네트워크 구축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2008년 10월 개관한 영화창작공간은 그동안 소홀했던 영화창작자들의 기획개발을 위한 전문공간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마련했으며, 그 기존의 틀을 발전시켜 제작공간까지 제공하는 등 지원영역을 넓히고 있다.

현재까지 개봉작 18편, 개봉대기작 8편까지 총 170편의 작품을 개발하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 9월 국내 최초 법정 스릴러 영화를 표방하며 흥행몰이를 하고 있는 <의뢰인>(신창길 PD)과 지난 17일 열린 제48회 대종상영화제에서 ‘시나리오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2관왕에 오른 <블라인드>(윤창업 PD)도 모두 영화창작공간에서 개발된 작품이다.

현재는 라희찬 감독의 <Mr.아이돌>이 11월 3일 개봉을 준비 중이며, 손예진, 이민기 주연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오싹한 연애> (2기 안상훈 PD)도 하반기 개봉을 기다리고 있다.

안승일 서울시 문화관광기획관은 “올해 프로덕션 오피스가 조성돼 ‘영화의 기획개발에서 제작까지’ 모두 이곳 영화창작공간에서 지원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기쁘다”며 “무한한 상상력과 아이디어를 가진 한국 영화인들이 이 곳 영화창작공간에서 경쟁력 있는 멋진 작품들을 배출해 낼 것을 기대하며, 앞으로도 더욱 좋은 작품들이 창작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문화관광디자인본부
문화산업과 최정혜
02-2171-243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