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FPD 2011에서 미래 신기술 선보여
- 산화물반도체 기술 적용 고해상도 태블릿용 패널 개발
- 스피커 일체형 패널, 펜타일 등 다양한 태블릿용 제품 선보여
- EWD, 투명 LCD, Dual LCD 등 차세대 제품도 소개
최근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태블릿 제품에서는 산화물반도체 기술을 적용한 OSI(Oxide Semiconductor Integration) 10.1인치 패널, 스피커 기능을 패널에 내장한 스피커 일체형 패널, 펜타일(Pentile) 및 EWD(Electro Wetting Display,
전기습윤디스플레이) 기술 등 다양한 신기술을 적용한 태블릿용 제품들을 선보였다.
산화물반도체 기술을 적용한 OSI 10.1인치 태블릿용 패널은 전자의 이동속도가 기존 실리콘 기반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보다 10배 이상 빨라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구동이 가능하다.
특히, 산화물소자 회로를 내장한 패널로는 업계 최고인 300dpi(dots per inch)의 고해상도를 구현하였으며, 베젤폭 또한 1.5mm로 차별화된 제품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삼성전자는 작년 산화물반도체 기술을 적용한 70인치 UD(Ultra Definition)패널을 개발한 것에 이어 올해 태블릿용 패널을 개발함으로써 산화물반도체 패널 분야에서 앞선 기술 리더십을 선보였다.
10.1인치 ‘스피커 인 패널’은 기존 LCD 제품들이 영상을 구현하는데 국한된 반면 영상 뿐만 아니라 스피커의 기능을 함께 구현한 제품으로 기존 LCD 패널의 광학 필름을 이용해 소리를 만들어 냄으로써 태블릿 제품에서 스피커 공간을 제거해 보다 슬림한 디자인이 가능하고 패널 전면에서 소리를 만들어 냄으로써 현장감 있는 사용자 환경 제공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고해상도를 구현하면서도 기존 제품대비 전력소비를 절반으로 줄인 펜타일 10.1인치 패널, 빛이 투과되는 정도를 기존 제품 대비 2배 이상 늘려 10% 수준의 저소비전력으로도 구동이 가능하고 야외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는 9.7인치 EWD 등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였다.
또한, 올해 초부터 업계 최초로 투명 LCD를 양산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냉장고의 전면 유리에 46인치 투명 LCD를 적용해 내부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품과 22인치 포터블 투명 LCD TV 패널 등도 선보였다.
투명 LCD는 태양광 또는 주변의 조명을 광원으로 활용 가능하므로 기존의 LCD 패널 대비 전력 사용량을 90% 가량 절감 가능한 친환경적 제품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외에도 하나의 백라이트로 동시에 앞과 뒷면의 패널에 빛을 공급해 양방향에서 서로 다른 영상을 보이도록 만든 듀얼 사이드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제품과 75인치 Smart 3D TV 패널, 테두리를 5mm로 줄여 ‘임장감(臨場感)’ 있는 영상을 구현한 SNB(Super Narrow Bezel) 55/46인치 Smart 3D TV用 패널도 전시했다.
삼성전자 개요
삼성전자는 반도체, 통신, 디지털 미디어와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부문, 디지털 미디어 부문, LCD 부분, 반도체 부문, 통신 네트워크 부문 등 5개 부문으로 이뤄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인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디지털 TV, 메모리 반도체, OLED, TFT-LCD 분야에서 세계 선두 주자다.
웹사이트: http://www.samsung.com/sec
연락처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
02-2255-8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