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유해오염물질 안전관리 종합계획 추진

서울--(뉴스와이어)--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환경 등을 통하여 비의도적으로 식품에 이행되는 유해오염물질로부터 국민건강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해오염물질의 안전관리를 인체 노출량(유해물질 총 섭취량) 중심으로 체계화하는 ‘유해오염물질 안전관리 종합계획’을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유해오염물질 : 환경 등에 의해 비의도적으로 식품에 이행되어 존재하거나, 식품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중금속, 곰팡이독소, 다이옥신, 벤조피렌, 3-MCPD 등 유해물질을 말함

이번 종합계획은 카드뮴 등 19종 유해오염물질의 식품 오염도 및 섭취량을 전면적으로 평가하여 우리나라 국민 인체 노출량을 인체노출안전기준의 1/2~1/3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목표다. 이에 따라, 현재 잔류기준을 설정하여 관리중인 유해오염물질(카드뮴 등 19종)에 대한 노출량 평가를 내년부터 5년 주기로 실시할 예정이다.

※ 인체 노출량 : 식품 등을 통하여 사람에게 노출(섭취)되는 유해물질의 양으로, 식품섭취량과 식품별 유해물질 오염정도를 가지고 정량적으로 산출
※ 인체노출안전기준 : 식품 중 유해오염물질이 인체에 노출되어도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노출허용수준

그 동안, 식품에 존재할 수 있는 오염물질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그 물질의 종류와 섭취한 양에 따라 다름에도 불구하고, 유해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 없이 검출 사실만으로도 소비자 불안과 해당 식품 기피 현상 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총 식품 섭취량 및 오염도를 반영한 현실적 기준 설정이 요구되어 왔다.

유해오염물질 안전관리 종합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유해오염물질 기준 재설정을 통한 노출량 관리
- 식품 섭취를 통한 유해오염물질의 인체 총 노출량이 섭취한계량(인체노출안전기준)의 10% 이상인 경우 섭취량이 많은 상위 80% 식품에 대해 기준 설정
- ‘12년부터 5년마다 유해오염물질(19종)의 식품 섭취량 및 식품별 오염도를 재평가하여 총 노출량을 산출하고 그에 따른 기준 재설정
→ 유해오염물질별 총 노출량이 인체노출안전기준 대비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

○ 극단 섭취군 및 민감층에 대한 노출량 관리
- 일부 식품만 편중하여 섭취하는 극단섭취군 및 영·유아, 임신부 등 민감층을 고려한 기준설정 및 적정 섭취 가이드라인 제공

○ 제조·가공 중 생성 오염물질은 저감화에 의한 노출량 관리
- 제조공정상 저감화가 가능한 유해오염물질이 인체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정부 주도로, 우려가 적은 경우에는 저감화 지침서 제공 등을 통한 업계 자율관리 유도

○ 유해오염물질 노출량평가의 선진화
- 국내 위험성자료 및 노출수준을 반영한 ‘한국형 인체노출안전기준’ 설정
- 실제 섭취형태의 총식이조사 및 인체 바이오모니터링을 통한 노출평가 도입
- ‘국가 유해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식약청은 이번 종합계획 마련을 계기로, 그 동안 유해오염물질의 검출만으로 야기되었던 소비불안, 기피현상 등 사회적 갈등과 경제적 손실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진국형 유해물질 안전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개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및 의약품의 안전에 관한 사무를 맡는 정부 부처로, 1998년 보건복지부 산하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설립돼 2013년 국무총리 산하 독립 기관으로 승격했다. ‘식의약 안심이 일상이 되는 세상’이라는 비전 아래 ‘현장·과학·협력’을 핵심 가치로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fds.go.kr/

연락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기준부 식품기준과
043-719-241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