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신호등, 휴대전화와 만나 고장수리 빨라진다
그동안 서울 시내 교통신호등은 유선통신망을 통해 중앙컴퓨터에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돼, 재개발 지역과 일부 외곽 지역 등 유선 통신 연결이 어려운 곳의 신호등은 인접 신호등과 연동이 되지 않아 독립적으로 운영돼왔다.
서울시는 전체 신호등의 7%에 이르는 이러한 독립 신호등을 무선 통신방식으로 중앙컴퓨터와 연결시키는 ‘무선원격제어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을 금년 말까지 추진해, 독립 신호등을 최적의 상태에서 운영·관리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무선원격제어관리시스템(WCMS)(1)’을 쉽게 설명하면, 유선 통신 접속이 어려운 신호등에 무선통신 단말기(가칭 휴대전화)를 설치, 무선 통신으로 중앙컴퓨터와 연결해 신호등의 원거리 제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독립 신호등과 중앙컴퓨터 장비가 무선 통신으로 연결돼 교통신호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며, 기존 유선방식에서 WCMS방식으로 개선된다. ※ WCMS(Wireless Control Management System):무선원격제어관리시스템
유선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있는 신호등을 무선 관리로 제어하게 되면 경제성이 높고,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앙 컴퓨터에서 제어가 가능해져 신호등 고장시 처리가 신속해진다.
무선 이동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에 비해 회선 사용료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통신을 위한 단말기 설치가 간단해 시공기간이 짧아 경제적이며, 선로에 의한 잡음이나 낙뢰에 대한 걱정이 없어 안전하다. 아울러 무선통신망(CDMA)은 코드 분할에 의한 자체 암호화로 데이터 보안성이 우수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멀리 떨어진 신호등이 소등·점멸될 시 무선으로 신호를 정상 복귀 시키는 등 갑작스런 신호등 고장 민원에도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특히 이번 사업에서 무선통신을 이용해 신호운영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향후 풍수해, 폭설 등 기상 재해시 비상상황에서 신호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도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국준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교통운영과장은 “이번 사업으로 서울 시내 교통신호가 더욱 유기적으로 연동돼 신호운영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라며, “시범 운영을 통해 무선관리시스템의 안정성, 경제성, 유지관리 용이성 등에 대한 다각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 문제점이 있다면 보완하여 점진적으로 확대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교통운영과
신호운영팀 최 종 권
02-6361-3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