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한국문화원 20개 지역 한류 팬클럽 182개, 회원수는 330만 명에 달해
- 한류, 아시아 지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
- 일본의 경우, 공식 한류 팬사이트만 200여 개 추정, 대부분 유료 회원제로 운영, 상업화
- 중국 상하이 11개 팬클럽에 회원은 105만 명으로 가장 많아
권역별로는 일본,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8개 지역 84개 231만 명, 워싱턴, 뉴욕, 아르헨티나 미주 4개 지역 25개 50만 명, 영국, 프랑스, 터키 등 유럽 7개 지역 70개 46만 명 순서대로 많다.
지역별로는 상하이 11개 105만 명, 북경 14개 73만 명, 뉴욕 6개 50만 명, 러시아 23개 26만 명, 터키 17개 17만 명 순서대로 많다.
그러나 이는 해외 한국문화원 지역에서 공식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팬클럽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며, 실제로는 이보다 크게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의 경우, 공식적 팬클럽 사이트만 200여 개 이상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이트가 상업화를 목적으로 유료, 회원 비공개로 운영되고 있어 정확한 회원 수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아, 이번 추산에서 이들 사이트는 제외됐다.
한류 팬클럽을 유형별로 보면, 가요(가수별) 팬클럽이 115개로 제일 많고, 연기자별 24개, 영화/드라마 16개순이며, 모든 장르를 망라하는 종합적 성격의 팬클럽도 27개에 달한다. 대체로 일본, 중국 등 아시아 대부분 지역과 폴란드, 터키, 러시아, 아르헨티나 등 한류가 활발하게 확산된 지역일수록 팬클럽이 가수별, 연기자별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이와는 별도로 개인별 한류 팬클럽의 연합체적인 성격으로 그 지역의 한류 활동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팬클럽도 있다. 지난 6월 SM타운 파리공연의 연장 시위를 주도했던 프랑스의 ‘코리안 커넥션’이나, 4만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한류 관련 인터넷 잡지, 일간 신문, 라디오 운영 등을 하고 있는 터키의 ‘코리아 팬스’ 등이다. 이러한 팬클럽은 정기적인 오프라인 모임을 가지면서 한국 문화 축제를 기획하여 개최하는 등 단순한 한국 문화의 소비자가 아니라, 한국 문화의 능동적 전파자로서 한류 붐 확산의 별동대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 팬클럽의 주요 활동은 좋아하는 스타나 영화/드라마에 대한 자료 공유, K-Pop 콘서트 요구 플래시 몹 개최, 스타 현지 방문 시 팬미팅 주선, 한국 문화 축제 기획 개최, 정기 모임 및 오프라인 포럼 개최 등을 들 수 있다. 프랑스, 필리핀, 카자흐스탄 팬클럽 등은 현지 한국문화원의 한류 행사에 자발적으로 참여 지원하기도 한다.
해외문화홍보원은 이번 해외 한국문화원 해외 팬클럽 현황 조사를 계기로, 향후 한류가 반한류, 혐한류 등 역기류 없이 순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한류가 전통문화 등 순수 문화에도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 개요
문화, 예술, 체육, 관광, 종교, 미디어, 국정홍보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부처이다. 2008년 문화관광부와 국정홍보처, 정보통신부의 디지털콘텐츠 기능을 통합해 문화체육관광부로 개편했다. 1차관이 기획조정실, 종무실, 문화콘텐츠산업실, 문화정책국, 예술국, 관광국,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을 관할하며, 2차관이 국민소통실, 체육국, 미디어정책국, 아시아문화중심추진단을 맡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문화재청,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국어원, 국립중앙도서관, 국립극장,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악원, 국립민속박술관, 한국영상자료원, 해외문화홍보원, 한국정책방송(KTV) 등을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cst.go.kr
연락처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윤정 사무관
02-398-1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