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사상공업지역 재생사업 타당성검토 및 개발계획 기본구상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부산--(뉴스와이어)--부산시는 1970년대에 조성된 노후 사상공업지역 재생을 위해 신개념 첨단산업단지로의 재생사업 유형설정 및 사업추진 방안을 마련했다. 사상공업지역의 열악한 기반시설 정비를 목적으로 2010년 4월에 착수한 “사상공업지역 재생사업 타당성검토 및 개발계획 기본구상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11월 1일(화) 오후 4시, 시청 12층 소회의실에서 개최하였다.

보고내용에 따르면 사상공업지역을 재생사업의 필요성과 용이성에 따라 우선정비구역, 일반정비구역, 정비유도구역으로 사업유형을 설정하고 사업유형별 추진전략을 차별화하여 재생사업의 실현성을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유형별 정비방향으로 ①우선정비형 사업구역은 신성장업종 위주의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하여 역세권과 연계한 복합용도개발로 사상부도심 기능을 강화하고, 민간에 의한 선도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며, ②일반정비형 사업구역은 지역특화산업 활성화 전문단지 및 집단화를 위해 민간과 공공의 협력적 개발방식을 설정하였다, ③정비유도형 사업구역은 기반시설 확충을 통하여 조업환경을 개선하고 장기적인 산업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민간사업자에 의해 선도사업으로 추진 될 우선정비형 사업구역은 용도지역 변경을 통한 용적률 상향조정과 도로, 주차장, 공원 등 기반시설설치 비용지원 등 구체적인 사업지원방안을 도출하여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점진적인 재생사업의 파급효과를 도모하도록 제안되어 있다.

사상공업지역은 2009년 9월 국토해양부에서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우선사업지구 선정’ 시 전국 4개지역(부산·대구·대전·전주)중 1개지역으로 선정되어, 같은 해 12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고 재생사업의 제도적 지원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부산시는 타당성검토 및 기본구상 용역을 착수하게 되었다. 그동안 6차례의 자문위원회와 설명회,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재생사업 기본구상(안)을 마련해 왔다.

부산시는 용역결과를 토대로 2012년부터 “재생시행계획수립 및 재생사업지구 지정” 및 노후공업지역내 기반시설 확보를 위한 국비지원이 명문화 될 수 있도록 관련 법률 개정을 국토해양부에 건의한 상태로 국가적인 지원여부가 사업추진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될 전망이다.

이날 최종보고회는 이기우 경제부시장 주재로 학계·연구기관의 전문가와 사상기업발전협의회로 구성된 자문위원, 시·구의회 의원, 관련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용역 결과에 대한 최종보고를 듣고 참석자와 질의응답 및 의견을 청취하였다.

향후 민간사업시행자 공모 등 재생사업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사업추진을 가속화해 나가기로 하고, 특히 감전동 일원의 사상첨단산업단지 및 모라동 일원의 모라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성사되면 시너지효과를 창출하여 사상지역이 “산업, 문화, 환경이 어우러진 지식성장거점”으로 거듭날 것으로 지역주민과 함께 기대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busan.go.kr

연락처

부산시 산업입지과
담당자 김부일
051-888-805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