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 SOA 구현을 위한 새로운 비전과 신제품 발표
BEA의 새로운 비전은 기능적으로 서로 분산 격리되어 있거나 일부 수직적 통합에 머무르고 있는 기업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탈피하여 인터넷 표준과 새로운 기술의 적용을 통해 SOA상에서 빠른 접속과 구성, 재사용이 가능한 수많은 모듈러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 네트워크’는 하드웨어 네트워크가 자사의 하드웨어 자산에 대한 명확한 가시성을 제공하는 것처럼, 보유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들에 대한 명확한 가시성을 보여준다.
또한, 고객들이 Liquid Asset 비전 구현을 위해, 비즈니스 구성, 수정 그리고 비즈니스의 요구에 즉각 응답하기 위한 IT 자산의 재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기업 소프트웨어 계층으로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처” 계층을 정의하고, 이 계층을 위한 BEA의 신제품인 BEA 아쿠아로직 제품군도 함께 발표했다.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처’는 새로운 개념으로, 최근 SOA와 웹서비스에 대한 높아지는 관심을 반영해 기존의 소프트웨어 툴과 요소들을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처’는 데이터 통합, 보안, 프로세스, 포털과 같은 다양한 환경 속에서 비즈니스와 IT서비스의 완전한 작동과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SOA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시장이 매년 75%의 성장률을 보이며 2009년경에는 90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SOA에 기반한 새 제품군인 아쿠아로직은 메시징 제품군인 아쿠아로직 서비스 버스, 아쿠아로직 서비스 레지스트리, 데이터 제품군인 아쿠아로직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시큐리티 제품군인 아쿠아로직 엔터프라이즈 시큐리티로 구성되어 있는데, 닷넷, 자바, 레가시 시스템 등 다양한 IT 환경 속에서 완벽한 SOA환경을 개발, 실행, 관리하기 위한 독립적인 오픈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BEA 아쿠아로직은 고객의 ‘고정적 자산’을 엔터프라이즈 리퀴드 에셋으로 변경시키고 타 기종간의 통합과 현대 산업의 니즈에 대한 즉각적 대응이라는 IT 부서의 고민거리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며, COLA(Composed Once Leveraged Anywhere)를 가능하게 하는 제품과 툴을 제공한다.
BEA 시스템즈의 CEO인 알프레드 추앙씨는 “기업 애플리케이션들이 기능적으로 격리, 분산되어 있는 ‘비즈니스 사일로(silo)’와 소프트웨어 ‘재래식 생산’의 시대는 갔다.” 라고 말하고 “우리는 오랜 스프레드 시트나 수작업 스크랩 작업, 사내 데이터베이스에 전화로 요청할 필요 없이 개개인 모두가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개인화된 ‘서비스 네트워크’를 가지는 세상을 꿈꾸어 왔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어제의 IT ‘생산’공장 에서 내일의 IT ‘조립’라인으로 이동해야만 한다. 이제 더 이상의 하드-코딩은 멈추고 고객들에게 엔터프라이즈 Liquid Asset의 효과를 느끼게 할 때이다.” 라고 강조했다.
BEA 시스템즈 코리아의 이광훈 이사는 “BEA는 애플리케이션 인프라스트럭처의 개척자로서 고객들이 SOA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라고 말하고, “이번 Liquid Asset 비전 발표를 통해 BEA는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운영시스템 벤더들과는 달리, 고객들에게 독립적인 인프라스트럭처 플랫폼과 다양한 기술의 결합에 필요한 통합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BEA의 업계선도적인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게 되었다.”라고 강조했다.
웹사이트: http://www.bea.co.kr
연락처
BEA 시스템즈 이광훈 이사 767-6803 / 코콤포터노벨리: 배병관 차장 6366-1511
이 보도자료는 BEA시스템즈코리아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08년 5월 7일 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