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권영근 교수팀, 혈관누수차단제 후보물질 개발
- 당뇨병성 망막증 치료 가능성 높아졌다
세브란스병원 뇌심혈관질환융합연구사업단의 연구 과제 수행 결과물인 이 물질은 저분자화합물을 이용해 당뇨나 노화 등으로 부실해진 망막 혈관 벽의 구조를 복원시킴으로써 혈관누수를 차단하고 시력을 회복시키는 새로운 치료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 물질은 혈관세포들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부탁 물질들에 작용해 세포의 견실성(intergrity)을 높임으로서 혈관세포 밖으로 삼출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삼출액:혈관 밖으로 나와 조직 내 또는 조직 표면상에 침착하는 액체나 세포, 또는 세포 잔사 같은 물질)
노화나 당뇨가 진행되면 직·간접적인 다양한 원인에 의해 미세혈관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미세혈관들이 밀집되어 있는 망막의 경우가 가장 취약하다.
당뇨병성 망막증은 모두 약한 미세혈관들로부터 유출된 혈액 또는 삼출물이 쌓여 시력장애가 유발되는 질환으로서, 레이저 치료를 통해 누출을 막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최근 혈관생성을 억제하는 약물들이 치료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번에 개발하는 약물은 혈관의 골격 구조를 정상으로 복원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신생혈관뿐만 아니라 기존의 노화되고 약해진 혈관까지 정상화되는 보다 근본적이고 직접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이다.
권영근 교수는 “초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노인성 질환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 그 중 황반부종은 시력소실을 가져오는 주된 원인으로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에 비해 적합한 치료제가 거의 없는 실정”이라며 “이번 기술은 저분자화합물을 이용해 당뇨나 노화 등으로 부실해진 망막 혈관벽의 구조를 복원시킴으로써 혈관누수를 차단하고 시력을 회복시키는 새로운 치료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약제는 암, 뇌졸증, 급성폐혈증 등 혈관누수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도 매우 긍정적인 치료효과가 있을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 치료물질이 개발되면 당장 혜택을 볼 환자는 당뇨병성 망막질환자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의하면, 당뇨병 진료환자는 지난 2006년 163만 명에서 지난해 202만 명으로 23.9% 증가했고, 당뇨병성 망막병증 환자는 16만 명에서 21만8천명으로 35.9% 증가했다. 특히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진료비용도 2006년 327억 원에서 505억 원으로 54.4% 증가한 현실이다.
한편, 세브란스병원 뇌심혈관질환융합연구사업단(단장,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김동익 교수)은 7일 (주)한독약품과 ‘신규 혈관누출 차단제’에 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기술이전 계약으로 연세의료원과 연세대는 약 60여 억원의 선급기술료와 일정비율의 경상기술료를 지급받게 되며, ㈜한독약품은 이전 받은 기술을 이용해 노화나 당뇨로 유발되는 망막증 치료 신약을 개발할 예정이다.
연세대학교 의료원 개요
연세대학교 의료원은 1885년 미국 선교의사 알렌(Dr. H. N. Allen)에 의해 세워진 한국 최초의 현대적 의료기관으로서 광혜원으로 출발하여 제중원, 세브란스병원을 거쳐 현재의 의료원으로 성장하였다. 연세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산하에 교육기관으로는 보건대학원, 간호대학원, 의․치학전문대학원과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이 있으며 현재까지 졸업생은 총 25,985명에 이르고 있다. 또한 진료기관으로는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치과대학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등이 있으며 세브란스병원 산하 암센터, 재활병원, 심장혈관병원, 안․이비인후과병원, 어린이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산하 척추병원, 치과병원, 암병원 등 총 8개의 전문병원이 있다. 의료원 총 직원 수는 의사직 2,000여명, 일반직 5,800여명 등 총 7,800여명 이며 총 병상 수는 3,137병상이다.
웹사이트: http://www.yumc.or.kr
연락처
연세대학교 홍보실
이재욱
02)2228-1075
이메일 보내기
-
2017년 2월 3일 0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