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민속마을 지정 다양화 워크숍’ 개최
문화재청은 현재 6개의 민속마을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해 오고 있는데, 이는 주로 양반마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로 말미암아 기타 다양한 형태의 시대적 타임캡슐을 담고 있던 민속마을들이 급속한 사회적 환경 변화로 사라지거나 훼손되어 가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이에 문화재청은 민속마을 지정의 외연을 확대하여 단절될 위기에 있는 다양한 형태의 민속마을을 발굴하여 보존·전승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계전문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200여 개 마을을 추천받아서 이를 바탕으로 연구용역을 추진 중에 있다.
이번 워크숍은 이 연구용역(책임연구원 : 공주대 이해준 교수)의 중간보고를 겸한 자리로, 경관과 생업, 생활문화와 무형문화의 종합적 결정체로서 민속마을의 다양한 유형과 지정기준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일본은 전통건조물 보존지구를 집락·항구·상가·무사·도자기·신사마을의 8개 유형으로 나누고 있는데, 우리는 산촌마을, 섬마을, 잠녀마을(해녀마을), 도자기 마을, 너와집 마을 등등으로 특징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워크숍의 자문과 토론자로는 김광언(인하대 교수), 김명자(안동대 교수), 김용수(경북대 교수), 정명섭(경북대 교수), 그리고 경관, 건축, 민속, 역사 등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민속마을 지정 다양화와 관련된 정책 방향 및 민속마을 보존·관리의 지속 가능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042-481-4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