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한·아세안 FTA 협력을 위한 제6차 아세안 세관직원 연수 실시

대전--(뉴스와이어)--관세청(청장 주영섭)은 4박 5일간(11.14〜11.18) ASEAN 세관직원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원산지증명 및 관세행정 전반에 관한 초청연수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힘

아세안은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한국의 교역시장이며 최근 20년간 6〜8%의 높은 GDP 성장률을 유지해오는 등 우리 경제의 주요 파트너로 부상

* 2010년 기준 양자간 교역규모는 970억불(수출 530억불, 수입 440억불)

특히 2007년에는 ‘한-ASEAN FTA’ 발효로 인해 교역확대의 전기가 마련되는 등 양자간 긴밀한 경제협력의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음

그러나 아세안 현지 세관의 ‘불투명한 통관 행정’ 및 ‘우리나라 원산지 증명서 발급체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아국 진출기업이 통관과정에서 FTA를 활용하는데 애로사항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금번 프로그램을 추진

관세청은 아세안 세관직원을 초청하여 FTA 교육을 실시하여 우리나라의 신속·정확한 통관행정 및 발전된 기술 수준에 대한 이해를 높여 나갈 계획임

특히, 이번 연수는 우리나라에서 발급된 원산지증명서의 신뢰도를 높이고 투명한 FTA 통관행정에 대한 아세안측의 인식 제고를 목적으로, 아국의 전산화된 원산지증명서 발급체계 교육 및 기업의 원산지 관리 현황 견학, 통관애로 사례 관련 토의 등으로 진행 할 예정임

아울러 관세청은 이번 교육을 통해 ‘한-ASEAN FTA’관련 양자간 이행 협력 체계를 굳건히 하고, 연수 참가자를 親韓派 세관직원으로 육성하여 향후 통관 애로 해소 등 원활한 업무협조의 창구로 활용할 계획임

앞으로도 관세청은 ‘한-ASEAN FTA’가 양자간 교역 확대에 촉매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우리 기업의 FTA 활용 지원에 총력을 기울일 것임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FTA집행기획 담당관실
류수정 사무관
042-481-3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