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전통메주서 18속 69종 1508균주 메주곰팡이 분리
농촌진흥청은 지난 2009년부터 3년간 전국의 맛집, 농가, 장류생산업체 등으로부터 323개의 전통메주를 수집해 연구한 결과, 18속 69종 1,508균주의 메주곰팡이를 분리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우리나라 메주에는 일본의 미소곰팡이인 황국균(Aspergillus oryzae)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연구결과, 접합균류(Mucor circinelloides, M. racemosus, Lichtheimia ramosa), 푸른곰팡이(Penicillium solitum), 빗자루곰팡이(Scopulariopsis brevicaulis) 등이 황국균과 함께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전라남북도와 제주도 지역은 털곰팡이류(Mucor spp.)와 푸른곰팡이류(Penicillium spp.), 경기도를 포함한 중부지역은 누룩곰팡이(Aspergillus spp.)와 빗자루곰팡이(Scopulariopsis spp.)가 각각 우점하고 있어 지역마다 다른 장맛을 내는 것으로 판단됐다.
이밖에 이번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메주에서 분리·보고되지 않았던 홍국균(Monascus ruber) 등 다수의 유용곰팡이도 찾아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메주에서 분리한 1,508균주 가운데 생물학적 종, 지역, 맛집을 대표하는 431균주를 선발해 국가의 생명자원으로 등록하고, 농업미생물은행(KACC)에 장기 보존했다.
이들 메주곰팡이는 -196℃의 액체질소 보존실에 중복으로 보존되어 100년 후에도 활용이 가능하며, 보존된 메주곰팡이 자원은 장류 연구를 위한 생물자원으로써 산업체와 연구계에 무상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메주곰팡이와 장류 맛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면 입맛에 맞는 다양한 장류 개발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팀 홍승범 연구사는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일본 미소에서 유래한 황국균을 제외하고는 장류 생산을 위해 산업화된 메주곰팡이는 없는 실정”이라며, “이번에 전통메주에서 다양한 곰팡이를 분리·보존함으로써 국내 메주곰팡이의 산업화 기반 구축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팀
홍승범 연구사
031-299-1866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