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가구 3곳 중 1곳 “가계빚 늘었다”

서울--(뉴스와이어)--올 하반기 들어 생활자금 충당을 위한 대출자들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수도권 300가구를 대상으로 ‘최근 소비특징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3.0%가 “하반기 들어 가계부채가 이전보다 늘었다”고 답했다. <‘줄었다’ 19.3%, ‘변동없다’ 1.0%, ‘부채없음’ 46.7%>

부채가 늘어난 이유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생활자금 충당’(44.4%)을 꼽았고, 이어 ‘주택구입’(22.2%), ‘전·월세자금 충당’(19.2%), ‘차량·가전·가구 등 구입’(9.1%) 순이었다. <‘부동산·주식 등 재테크’ 3.0%, ‘기타’ 2.1%> 소득·연령별로 보면, ‘전·월세자금 충당’(45.5%)을 가장 많이 꼽은 월소득 20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을 제외한 전 소득·연령층에서 ‘생활자금 충당’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물가상승 탓에 소비자들의 지출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소비자의 68.7%는 ‘최근 소비지출을 줄였다’고 답했으며, <‘큰 변화없다’ 20.3%, ‘늘렸다’ 11.0%> 가장 큰 이유로 ‘물가상승 지속’(56.3%)을 꼽았다. 다음으로 ‘가계소득 감소’(20.9%), ‘부채부담 증가’(8.7%), ‘경기불안 우려’(8.7%), ‘자산가치 하락’(5.4%)을 지적하기도 했다.

소비를 줄였다는 응답자들은 ‘먹고’, ‘꾸미고’, ‘노는 것’에 대한 지출부터 줄인 것으로 드러났다.

‘외식·숙박’(28.5%), ‘패션·뷰티’(18.3%), ‘오락·문화’(17.1%) 항목에 대한 지출을 가장 많이 줄였으며, ‘식료품’(8.2%), ‘가사제품’(6.6%), ‘술·담배’(5.5%), ‘통신비’(4.8%), ‘교육비’(3.2%), ‘주거비’(3.2%), ‘의료비’(2.1%), ‘교통비’(1.4%)가 뒤를 이었다. <‘기타’ 1.1%>

향후 소비지출을 줄이겠다는 응답도 많았는데, ‘내년 상반기 지출 계획’을 물은 결과 ‘줄이겠다’는 응답이 55.3%, ‘현재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30.0%에 달한 반면, ‘늘리겠다’는 답변은 14.7%에 그쳤다.

소비를 줄일 항목으로는 ‘외식·숙박’(33.9%), ‘오락·문화’(19.2%), ‘패션·뷰티’(16.8%)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사제품’ 5.5%, ‘통신비’ 5.5%, ‘술·담배’ 5.1%, ‘식료품’ 4.8%, ‘주거비’ 3.3%, ‘교통비’ 2.9%, ‘의료비’ 1.7%, ‘교육비’ 1.2%, ‘기타’ 0.1%>

대한상의는 “대내외 경제여건이 나빠지면서 소비자들이 실생활에 꼭 필요한 것 외에 외식이나 여가활동 등에 대한 소비지출을 줄이고 있다”면서 “소비가 쉽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경기에 대해서는 ‘상반기에 비해 나빠졌다’는 인식이 76.3%로 가장 많았고, ‘별 차이없다’는 응답과 ‘좋아졌다’는 응답은 각각 18.7%, 5.0%로 나타났다.

소비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물가안정’(62.7%), ‘부동산시장 안정’(11.3%), ‘일자리 창출’(7.7%), 금리안정(7.7%)을 차례로 들었다. <‘감세정책’ 3.7%, ‘금융시장 안정’ 3.3%, ‘기타’ 3.6%>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세계경기 둔화로 수출전망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가계부채 증가와 소비위축은 국내 경기에도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물가안정, 부동산시장 안정, 일자리 확대 등 소비 활성화를 위한 대책들이 지속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 개요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적, 세계적인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가진 국내 유일의 종합경제단체로서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리 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rcham.net

연락처

대한상공회의소 거시경제팀
손영기 팀장
6050-344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