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제’로 640억 절약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가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제’로 연간 에너지소비량 3억9천 ㎾h, 탄소배출량 9만6천톤을 줄이고 소나무 86만 그루 식재하는 효과를 내는 등 연료비로 환산하면 640억원을 절약했다.

서울시는 지난 7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건축심의를 마친 47건에 대해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제를 적용, 이들 건물은 에너지 기준 이하로 설계해 이와 같은 녹색건축물 활성화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 중 에너지저소비형에 해당하는 150㎾h/㎡.y이하 건축물도 7건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제’는 그동안 점수·등급 등 단편적인 평가로 실제 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량을 정확하게 알 수 없었던 부분을 정량적으로 계산해 일정량 이하로 소비되도록 관리하는 제도다.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제’란 1년 동안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총에너지사용량을 건물면적으로 나눠 1㎡당 연간 에너지소비량이 기준 이하가 되도록 에너지소비량을 관리하는 제도다.

이는 서울시 에너지소비량의 60%를 차지하는 건축물 에너지소비량을 줄이는 실질적인 방법으로서, 시는 건축부분 에너지소비량 20%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일한 규모의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외형, 내부 공간배치, 설비시스템에 따라 에너지소비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친환경·에너지절약을 위해서는 건물부문의 개선이 매우 중요하다.

서울시는 에너지총량제를 적용하기 위해 지난 3월 건축물 에너지소비량을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설계자와 인·허가 담당자 및 관련자들에게 무료 보급하고 활용 교육을 실시하는 등 건축물 에너지소비총량에 대한 관심을 유도했다.

또한, 7월부터는 바닥면적의 합계 1만㎡ 이상 신축 건축물의 건축심의 또는 인허가시 에너지소비량을 확인해 공동주택 200kWh/㎡·y, 일반건축물 300kWh/㎡·y 이내로 설계토록 했다.

에너지소비량 산출프로그램에 입력되는 40개 항목은 외벽·창호 열관류율 및 면적, 유리투과율, 조명밀도, 신재생에너지 등을 입력하면 1㎡당 연간 소비되는 건축물 에너지소비량을 쉽고 편리하게 계산할 수 있다.

공공건축물은 에너지소비총량을 더욱 강화해 바닥면적 합계 3천㎡ 이상 신축 또는 리모델링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47건에 대해 에너지총량제를 적용한 결과, 에너지효율 최저등급인 5등급에 비해 에너지소비량은 연간 3억9천㎾h를 줄이게 되고, 온실가스 배출량 9만6천톤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소나무 86만 그루를 식재한 효과로서 서울숲(115만6천㎡, 41만 그루) 2배의 공원 조성에 해당하며, 이를 연료비로 환산하면 절감액은 640억 원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앞으로 에너지소비총량제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건축심의·인허가·사용승인 등 건물 에너지 정보관리를 일원화 하고, 현재 공동주택 및 업무시설에 한정돼 있는 프로파일을 판매·숙박·의료시설 등을 추가해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온실가스는 1990년 발생량 대비 40% 감축, 에너지소비량은 2000년 소비량 대비 20% 절감을 목표로 하는 ‘2030 그린디자인 서울’ 목표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에너지소비량 기준을 강화하고 에너지절약 방안을 연구해 실효성 있는 건축물 에너지절약 시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주택본부
건축기획과 임태수
02-3707-827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