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농림어업총조사 집계 결과(지역조사 부문)

대전--(뉴스와이어)--2010 농림어업총조사 집계 결과(지역조사 부문)

1. 마을 현황

가. 마을* 규모

2010. 12. 1. 현재 전국의 마을은 36,498개이며, 가장 많은 시도는 전남
* 이 자료에서 마을은 읍·면 지역에 설치된 행정리를 지칭

2010년 12월 1일 현재 전국의 마을은 36,498개로 2005년 보다 457개(1.3%) 증가

전국의 마을은 읍지역에 22.5%(8,212개), 면지역에 77.5%(28,286개) 분포하고 있으며 5년 동안 읍지역에서는 6.8% 증가했고, 면지역에서는 0.2% 감소했음

나. 마을 분포

2010년 12월 1일 현재 시도별로 마을 분포를 보면, 전남이 6,650개(18.2%)로 가장 많고, 다음은 경북 5,167개(14.2%), 전북 5,108개(14.0%) 순임

다. 가구 규모별 마을

마을별 전체 가구 규모는 ‘20~39가구’가 29.2%로 가장 많았음

전체가구 규모별로 마을을 보면, 가구수가 ‘20~79가구’에 해당하는 마을이 66.1%였으며, 평균(중위) 가구수는 48.9가구임

‘20~39가구’에 해당하는 마을이 29.2%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40~59가구(23.7%)’, ‘60~79가구(13.2%)’ 순임

‘19가구이하’ 마을은 8.5%, ‘300가구이상’인 마을도 5.6%로 나타났는데 이는 주로 면지역의 이농과 도시근교의 지역개발 영향으로 보임

전체 마을의 평균(중위) 규모는 48.9가구로 나타남

□ 농가가 있는 마을은 전체 마을의 98.7%(36,027개)

읍면지역의 마을 중 농가가 있는 마을은 36,027개(98.7%)였으며, 임가가 있는 마을은 18,799개(51.5%), 어가가 있는 마을은 5,374개(14.7%)였음

2005년에 비해 임가가 있는 마을이 11.8%(1,988개) 증가했으며, 어가(2.9%), 농가(1.4%)도 소폭 증가 했음

농가 규모별 마을 분포를 보면, ‘10~19가구’인 마을이 10,361개(28.8%)로 가장 많고, ‘20~29가구(26.4%)’, ‘30~39가구(16.1%)’ 순임

마을 평균(중위) 농림어가수는 농가 23.3가구, 임가 2.7가구, 어가 3.3가구로 나타남

농가 비율별 마을 분포를 보면, ‘50~60%미만’인 마을이 19.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70%이상(18.9%)’,‘60~70%미만(18.5%)’순으로 나타남

2. 교통 및 시설

가. 대중교통 이용

□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한 마을은 전체의 94.9%이며, 주로 시내버스를 이용

마을별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수단을 보면, 시내버스가 33,128개(90.8%) 마을로 가장 많고, 다음이 시외버스로 7,595개(20.8%) 마을임

기차가 이용가능한 마을은 1,104개(3.0%)로 나타났음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수단이 없는 마을은 5.1%(1,859개)로 2005년에 비해 1.3%p(452개) 감소했음

□ 읍면 마을의 시내버스 평균 운행 횟수는 10.3회

시내버스, 시외버스, 기차의 운행횟수별 마을은 ‘15회이상’이 가장 많고, 다음이 ‘4~6회’, ‘10~14회’ 순임

여객선은 ‘1~3회’를 운행하는 마을이 가장 많고, 다음이 ‘4~6회’ 순임

대중교통별 1일 평균(중위) 편도 운행 횟수는 시외버스가 14.3회로 가장 많고, 기차(10.9회), 시내버스(10.3회), 여객선(4.1회)순으로 나타남

나. 생활 편의시설

□ 대부분의 마을은 생활편의 시설이 20분 거리 안에 위치

교육시설이 ‘마을 내’에 있는 마을이 유치원 14.8%, 초등학교 15.3%, 중학교 14.0%, 고등학교는 7.3%이며, 대부분‘다른 지역’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

‘다른 지역’에 있는 교육시설 중 60%이상이 소요시간이 20분 미만인 것으로 조사됨

※ 20분미만 : 유치원 68.8%, 초등학교 69.1%, 중학교 70.5%, 고등학교 60.4%

소요시간이 20분 이상인 교육시설은 초등학교 7.0%, 중학교 11.0%, 고등학교 26.3%로 상급학교 일수록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남

각종 사설학원이 ‘마을 내’에 있는 마을은 약 8%이내 이며, 대부분‘다른 지역’에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의료시설을 보면 약국·보건소가‘마을 내’에 있는 마을은 약 10%이내이나, 종합병원은 1.0% 수준임

다른 지역인 경우 소요시간 20분 미만에 약국이 67.9%, 보건소가 73.2%로 나타나 기초의료 시설 접근은 대체로 용이한 것으로 보임

병·의원, 한의원도 20분 미만에 58.5%로 나타났으나, 종합병원은 30분 이상이 60.4%로 접근 편의성이 낮은 편임

기타 생활편의 시설을 보면, 마을회관이 ‘마을 내’에 있는 마을이 92.5%이고, 어린이집·협동조합·우체국·파출소는 약 10% 수준임

금융시설을 보면 협동조합·우체국이 ‘마을 내’에 있는 마을은 10% 수준이나, 새마을금고·은행은 5%미만으로 나타남

상설영화상영관은‘마을 내’에 있는 마을이 166개(0.5%) 마을로 매우 적었으며, 다른 지역 이용에도 소요시간이 30분이상이 48.8%로 나타남

다. 농림어업 관련 시설

□ 유통시설 및 생산기반시설은 주로 ‘30분이상’ 거리에 많으나 저온 저장고는 해당 ‘마을 내’가 가장 많음

유통시설 이용은‘다른 지역’으로 30분 이상 소요되는 마을의 비율이 다른 시설 보다 높게 나타남

다른 지역으로 30분 이상 소요 비율은 공판장·위판장이 26.8%, 농수산물집하장 16.4%, 농수산물도매시장 36.6%, 산지유통센터 14.0%임

생산기반시설 중 저온·저장고는 ‘마을 내’에 19.2%로 다른 시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축산물 종합처리장은 ‘다른 지역’으로 30분 이상 소요되는 마을이 19.2%로 높은 편임

3. 경영형태

마을별 농업 경영형태는 논벼, 채소·산나물 순이며, 해수면 어업은 어선사용 어로어업이 많음

가. 농업 경영형태별 마을

농업 경영형태별 마을을 보면, 논벼 마을이 92.2%로 가장 많고, 다음이 채소·산나물(75.5%), 축산(60.2%), 식량작물(60.0%) 순으로 나타남

논벼는 충남, 전북, 경기가 전국 비율보다 높고, 채소·산나물은 제주, 강원, 광역시 지역이 높음

< 참고 : 시도별 농업 경영형태별 마을 비율 >
* 논 벼 : 충남(98.8%), 전북(95.9%), 경기(95.0%)
* 채소·산나물 : 제주(88.6%), 강원(86.0%), 광역시(80.1%)

나. 어업 경영형태별 마을

해수면 어업 경영형태별 마을의 경우 어로어업이 88.5%로 대부분의 마을에서 경영되고 있으며, 양식어업이 48.1%를 차지

어로어업 경영형태별로 보면 보유어선 사용 74.1%, 어선 비사용 43.2%, 남의어선 사용 16.9% 순임

양식어업에서는 주로 패류(26.8%), 해조류(16.2%)를 양식하는 마을이 많음

내수면은 양식어업이 53.4%, 어로어업이 49.6%으로 양식어업을 경영하는 마을이 약간 많음

양식어업에서는 주로 어류(41.8%)를 양식하는 마을이 많음

4. 생산자 조직 및 쓰레기 처리

가. 생산자 조직

읍면지역 3개 마을 중 1개 마을에 작목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생산자 조직별로 보면, 전체 마을 중 법인이 16.1%, 작목반은 31.6%, 어촌계는 6.3%, 산림계는 1.4%가 마을에서 조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중 작목반은 3개 마을 중 1개 마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활성화 되어 있는 것으로 보임

법인은 영농조합이 92.4%로 가장 많았으며, 농업회사 7.5%, 영어조합 5.0%, 어업회사 1.6% 순임

작목반은 채소가 42.4%, 과수가 34.9%, 논벼가 29.3% 순임

나. 쓰레기 처리 현황

쓰레기 처리방법은 분리수거가 가장 많음

마을별 쓰레기 처리현황을 보면, 음식물 쓰레기, 일반생활 쓰레기 및 농림어업 관련 쓰레기 등 모든 종류에서 분리수거 방법 비중이 제일 높음

분리수거 비중은 농림어업 관련 쓰레기는 75.2%, 일반생활 쓰레기는 74.8%, 음식물 쓰레기는 43.1%로 각각 나타남

기타처리 방법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41.4%, 농림어업 관련쓰레기가 13.6%를 차지하는데 주로 퇴비나 사료로 재활용하는 것으로 보임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조사관리국 인구총조사과
사무관 이영보
042.481.372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