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 정부조달협정(GPA) 개정 협상 타결
정부조달협정(GPA)은 1979년 동경 라운드에서 복수국간 협정으로 출범
※ 2011.12월 현재 GPA 회원국(41개국)은 한국, 미국, EU 27개 회원국, 일본, 캐나다, 홍콩, 대만, 싱가포르, 아루바(네덜란드령),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이스라엘, 아르메니아
정부조달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8백억~1조 달러에 달하는 규모로 정부조달시장이 추가로 개방(사무국 추산)되었다. 동 협상 타결 결과 글로벌 경제난 최소화를 위한 경기부양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이며, 정부조달의 투명성 제고와 공공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는 금번 협상에서 학교급식을 포함한 모든 급식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조달을 정부조달협정문 적용 예외로 인정받아, 학교급식에 대한 우리 농산물 우선 구매 등 내외국산 차별조치에 대해 국제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GPA 회원국들은 2012년 3월까지 각국의 양허안에 대한 기술적인 검증 및 문안 정리 작업을 완료한 후, 협정 발효를 위한 국내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 동 개정 협정문은 1994년 GPA 회원국의 2/3가 협정 수락을 위한 기탁서를 기탁한 30일 이후 발효
금번 GPA 개정협상 타결을 계기로 내년부터는 중국 등의 GPA 가입협상에 중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 중국은 2007년부터 정부조달협정 가입협상을 시작하였으며, 2011.11.30 제2차 수정 양허안을 제출함.
외교부 개요
외교부는 세계 각국과의 외교 관계, UN 등 국제기구에 관한 외교, 대북한 정책, 의전 및 외빈 영접, 양자 및 다자간 조약, 외국과 문화 학술 교류 및 체육협력에 관한 정책, 재외국민의 보호 및 지원 등을 맡는 정부 부처다. 산하에 대사관과 영사관을 두고 있으며, 북핵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신설한 한반도평화교섭본부가 대북정책 관련 업무를 맡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mofa.go.kr
연락처
외교통상부 다자통상국 공보ㆍ홍보담당관
2100-7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