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2011년 전주발전에 관한 우수학위논문 13편 선정

전주--(뉴스와이어)--전주시(시장 송하진)에서는 2011년도 관·학 협력 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전주권(6개大) 대학원생에게 전주발전에 관한 학술적 연구를 통해 시정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시정 정책적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 5월 ‘전주발전에 관한 석·박사 우수학위논문’ 공모를 시행, 최근 우수학위논문을 13편 선정했다.

우수학위논문 신청자격으로는 2010학년도 전·후기와 2011학년도 전기 석·박사학위 논문이며, 대학별로 1차 자체심사를 거쳐 전주시에 추천하고, 이를 전주시는 시정발전연구원 등이 참여하여 우수논문을 심사했다.

시상내용은 최우수작 5편과 우수작 8편으로 총13편이며, 시상금은 최우수작 2백만원, 우수작은 1백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주권 대학원생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각 대학교와 전주시 홈페이지, 언론매체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홍보를 진행, 처음 시행단계임에도 여러 분야의 우수한 논문 13편을 신청받았다.

대학별 접수현황은 전북대 4편, 전주대 5편, 예원예술대 4편이며, 학위과정으로는 박사과정 1편과 석사과정 12편이다.

이 논문에 대한 2차 심사는 전주시 현안사업, 전략산업 분야에 대한 효율성·실현성 등에 주안점을 두고, 시정발전연구소 송재복 연구원 등 심사위원이 우수학위논문 심사기준에 따라 최우수작 5편과 우수작 8편으로 신청논문 13편 모두를 선정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최우수작 5편은 △지역 도시레짐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전북대), △천연보존제의 탁주 보존 효과(전주대), △IPA기법을 활용한 관광객 재방문 의사에 관한 연구(예원예술대), △소셜네트워크시대의 지자체 홍보방안에 관한 연구(예원예술대),△도심쇠퇴현상 파악 및 활성화 사업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전북대) 가 선정되었으며, ①‘지역 도시레짐(regim)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는 레짐(regim) 행위 주체들의 역학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공식화되지 않은 영향력의 실체를 보여주고 레짐의 분열과 통합과정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전주시에 나나타고 있는 한옥마을의 산업화 및 탄소밸리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갈등의 본질 파악 및 해소과정에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레짐(regim) : 도시의 발전에 관여하는 권력구조·정치체제), ②‘천연보존제의 탁주 보존 효과’에 관한 연구는 전통주의 가장 큰 문제인 술의 저장기간에 대한 연구로서, 막걸 리와 모주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볼 수 있다. ③‘IPA(중요도·성취도 분석)기법을 활용한 관광객 재방문 의사’에 관한 연구는 한옥마을 관광객을 대상으로 IPA기법을 통해 한옥마을의 관광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했고, 전시공연에 대한 차별화 정책의 필요성과 체험, 관광명소, 음식점에 대한 고급화 전략 등 한옥마을 관광정책 활용면에서 가치가 높다. ④‘소셜네트워크(SNS) 시대의 지자체 홍보방안’에 관한 연구는 지방자치활성화의 측면에서 홍보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전주시의 홍보현황 및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SNS를 활용한 홍보방안으로 홍보채널 다양화, 대표 소셜미디어 공략, 위치기반서비스 활용, QR코드 활용 등 대안을 제시했으며(※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 형식의 코드) ⑤‘도심쇠퇴현상 파악 및 활성화 사업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는 전주시 도심 상업지 및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특성 분석으로, 도심쇠퇴 현상에 대한 이유를 현장감있게 밝히고, 특화거리, 걷고 싶은 거리, 한옥마을 일원 등 활성화 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에 활용가능성이 높다는데 의의가 있다.

심사위원은 전주시 현안문제 해결방안 도출 등 현실정책 활용 및 실현 가능성 측면에서 기여도가 높은 논문을 최우수작으로 선정했다고 밝혔으며, 전주시는 이 같은 우수 논문을 분야별 시책사업 추진시 적절히 반영할 계획으로, 향후 전주발전을 이끄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태현 시 기획조정국장은 “대학원생들이 학술적 연구를 통해 지역발전에도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젊은층의 밝고 세련된 사고방식을 정책에 반영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한 뒤, “향후 시정발전을 위한 정책 대안과 합리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과제 발굴을 위해 공모분야를 현안사업, 전략사업, 지역과제 발굴 등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해 모집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jeonju.go.kr

연락처

전주시청 기획예산과
정책평가담당 노동필
063-281-2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