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식품이물 발생건수 전년 대비 34.5% 급감
식품업체 보고의 경우 ‘11년 4,119건으로 전년(6,258건) 대비 34.2% 줄었으며, 소비자 신고도 지난해 1,512건으로 전년(2,341건)에 비하여 35.4% 감소하였다.
이는 식품업체 이물 보고 의무화(‘10.1) 이후 지속적인 원인 규명을 통한 이물 혼입 경로의 차단 및 업체의 이물 관리 노력의 결과로 판단된다.
※ 그간 품목별 이물 혼입방지 가이드라인, 이물 제어장치 운용 및 이물 저감화 매뉴얼 등 개발·보급, 업체 자율 이물관리 협력 네트워크 운영 등 업체의 이물 관리 기술 지원
식품이물 혼입 원인이 파악된 경우는 총 1,245건으로 이 중에서는 소비단계(472건) > 제조단계(431건) > 유통단계(342건) 순으로 나타났다.
혼입 원인이 파악되지 않은 이물 발생 건의 경우 원인불명(3,138건)과 조사불가(1,109건) 등이며, 현재 139건의 조사가 진행중이다. 원인불명은 유리조각, 금속, 플라스틱, 벌레 등 이물의 특성상 제조·유통·소비단계 모두에서 혼입될 가능성이 있어 명확한 인과관계를 입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이며, 조사불가는 이물분실·훼손, 영업소 폐쇄, 소비자 조사 거부 등이 원인이다.
식품이물의 종류로는 벌레(2,831건, 50.3%) > 곰팡이(557건, 9.9%) > 금속(553건, 9.8%) > 플라스틱(312건, 5.5%) > 유리(84건, 1.5%) 순으로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벌레의 경우 소비·유통단계 혼입율(533건, 19.4%)이 제조단계 혼입율(103건, 3.7%)보다 높게 나타났다.
※ 제조단계에 농산물 등 원재료에서 이행되거나 유통·판매업체 또는 소비자가 식품을 보관하는 과정에 부주의로 혼입
곰팡이는 유통단계(109건, 20%)에서 많이 발생하고, 제조단계(74건, 13.6%)에서도 상당수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곰팡이는 포장지 밀봉 불량, 유통 중 용기·포장 파손 또는 뚜껑 등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주로 발생
금속이나 플라스틱은 제조단계 혼입율(각 6.6%, 9.4%)이 소비단계 혼입율(각 5.2%, 3.3%)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금속, 플라스틱은 제조 과정의 거름망, 세척용 브러쉬, 소비자 조리기구 등에서 혼입
식품종류별로는 면류(1,374건, 24.4%) > 커피(579건, 10.3%) > 과자류(570건, 10.1%) > 음료류(427건, 7.6%) > 빵·떡류(347건, 6.2%) 순으로 이물이 많이 발생하였다.
면류에서 보고(신고)된 이물은 1,374건으로 이 중 유통단계(126건)에서 이물이 혼입된 비율이 9.4%정도로 다른 식품 종류에 비하여 높았으며, 커피는 579건이 보고(신고)되었으며, 이 가운데 소비단계(38건)가 6.7%로 비율이 높았고, 과자류는 제조단계, 음료류는 소비·유통단계에서 혼입이 많이 되었다.
식약청은 올해에도 이물 관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의 이물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업계 이물 관리 협력 네트워크’를 운영하여 업계가 자율적으로 이물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2011년도에 15개 대기업과 42개 중소기업이 이물 관리 협력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호 현장 방문과 자문 채널 개설, 정보 공유, 교육 및 간담회 등 개최
또한 이물 혼입 경로에 대한 보다 명확한 원인규명 및 판정을 위하여 이물 조사자에 대한 전문화 교육과 산·학·연 합동으로 이물조사판정위원회구성을 확대하여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도 식품 구매 시 포장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개봉한 식품은 가능한 한번에 섭취하되, 부득이 개봉한 식품을 보관할 때는 잘 밀봉하여 청결한 장소에 보관할 것을 당부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개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및 의약품의 안전에 관한 사무를 맡는 정부 부처로, 1998년 보건복지부 산하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설립돼 2013년 국무총리 산하 독립 기관으로 승격했다. ‘식의약 안심이 일상이 되는 세상’이라는 비전 아래 ‘현장·과학·협력’을 핵심 가치로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fds.go.kr/
연락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관리과
043-719-2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