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는 기본 아닌가요…직장인 외국어 선호도, ‘영어>중국어>일본어’
취업포털 스카우트(www.scout.co.kr)에 따르면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공모전 포털 씽굿(www.thinkcontest.com)과 함께 2050세대 대학생 및 직장인 958명을 대상으로 ‘외국어 선호도’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먼저 현재 외국어 공부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46.6%가 ‘공부 중’이라고 답했고, ‘공부할 예정’이란 응답도 32.8%를 차지했다. 반면 ‘공부하지 않는다’는 이들은 20.6%였다. 응답자 10명 중 8명은 외국어를 공부하거나 공부할 계획이라고 나타났다.
2050세대가 가장 배우고 싶은 외국어는 무엇일까? 이 물음에 응답자의 절반인 49.6%가 ‘영어’를 꼽아 외국어 중에서 기본 중에 기본이라는 인식을 같이 했다. 이어 중국어가 21.7%를 차지해 국내 경제 많은 영향을 끼치는 중국어 공부가 한창 임을 엿볼 수 있는 응답이었다. 반면,‘일본어’는 3위인 12.4%로 중국어에 밀려 세계경제 흐름을 막을 수 없었고 기타 ‘프랑스어’(3.5%), 독일어(2.8%), 스페인어(1.8%) 등은 인기가 없었다.
현업에서 외국어 활용정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다소 활용하는 정도’라는 응답이 32.4%로 가장 많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응답은 27.2%로 나타났다. 반면 ‘거의 쓰지 않는다’는 대답도 22.4%, ‘전혀 쓰지 않는다’는 의견 역시 17.6%나 차지했다. 외국어를 배워 현장에서 거의 또는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는 이들이 전체 응답자의 40%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직장인들이 외국어를 배우는 가장 큰 이유에 대해서는 ‘자기계발’이라고 답한 이들이 44.6%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스펙을 쌓겠다는 것이 외국어 공부의 중요한 이유로 여기고 있는 셈이다. 2위에는 ‘취업 및 이직’(23.4%)이 올랐다.
이외에 ‘업무에 필요해서’는 13.7%, ‘승진을 위해서’는 6.9%, ‘연구 및 원서 읽기’는 2.6%, 해외여행이 1.9% 등이 올랐다.
외국어 공부에 가장 관심 있는 영역으로는 ‘회화’(77.6%)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어학 증명’(10.3%), ‘독해’(5.3%), ‘문법’(3.4%), 기타(3.4%) 등의 순이었다.
외국어를 학습하기에 가장 좋을 것 같은 방법에 대해서는 ‘어학연수’가 31.8%로 1위에 올랐다. 2위에는 ‘외국인 친구 사귀기’(20.7%)가 뽑혔으며, ‘외국어 방송(영화 등) 및 매체 활용’(17.6%)이 3위를 차지했다. 그 밖에 선호하는 방법으로는 ‘해외여행’(8.6%), ‘학원’(5.1%), ‘토익 등 시험준비’(4.5%), ‘그룹 스터디’(1.8%), ‘과외’(1,7%), ‘펜팔’(1,7%)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2050세대들은 학교에서 진행되는 외국어 교육방식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있을까? 이에 절반에 이르는 이들이 ‘외국어 교육방식이 전면 바뀌어야 한다’(49.1%)고 생각했으며, ‘다소 바뀔 필요가 있다’(44.2%)는 이들과 함께 93.4%에 이르는 응답자가 부정적인 답변을 내렸다. 반면 ‘대체로 만족’(4.4%)과 ‘매우 만족’(2.3%)을 선택하는 이들은 거의 없어 현재 우리 사교육 실정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시사했다.
한편 2040세대들이 스스로에게 매기는 외국어 수준의 평점으로는 ‘보통’을 꼽은 이들이 29.3%, ‘다소 부족’이 24.1%, ‘많이 부족’이 22.4%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75,8%가 외국어 실력에 대해 여전히 자신감을 보이지 못했다. ‘훌륭’은 20.7%, ‘매우 훌륭’은 3.5%로 였다.
외국어 학습을 위한 한 달 평균 투자비용에 대해서는 ‘10만원 미만’이 67.6%로 가장 많은 응답자 수를 차지했으며, 10~20만원 미만이 18.6%로 집계됐다. 기타 20~30만원 미만은 12.1%, 50~60만원 미만이 1.7%로 나타났다.
스카우트 개요
취업포털 스카우트는 지난 1998년 오픈, 대한민국 최고 취업 포털 NO 1’Company입니다. 총 임직원 수는 150명이며, 온라인사업본부(www.scout.co.kr), 컨설팅사업본부(국방부 제대군인취업지원), 인재개발사업본부(경기도, 경남, 창원 등 지자체 취업지원/ 전국주요대학 취업지원), 헤드헌팅 및 채용대행사업본부(대기업 등 주요기업을 클라이언트) 등의 사업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자회사로는 핫알바, 패션스카우트, 스카우트 서치 등이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scout.co.kr
연락처
(주)스카우트
홍보팀장 이태성
02-2188- 6850, 010-4067-3716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