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당도 높이는 ‘감귤 재배기술’ 개발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감귤 재배시 신맛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키고 비료의 효율을 증대시켜 비료값도 줄일 수 있는 재배방법에 대해 제시했다.

제주도의 만감류 대표 종인 한라봉은 재배면적이 265ha(’00)에서 1,300ha(’10)로 급속히 증가되고 있으나 비료의 투여량 조절이 안돼 신맛이 높아 품질이 떨어지고, 많은 비료사용으로 생리장해가 나타나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 만감류 : 감귤은 크게 온주밀감과 만감류로 나뉘는데, 만감류란 개화 이듬해에 성숙되는 감귤로 한라봉이 대표적임

이에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에서는 땅에 뿌리는 형태의 비료를 대신해 액체 상태의 비료를 만들어 물과 섞어 토양에 흘러 들어가도록 재배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

당밀제제 액비를 사용한 방법인데, 이는 사탕수수에서 설탕을 뽑아내고 남은 부산물로 당분, 유기물, 아미노산과 각종 미량원소가 들어있고 모자란 질소, 인산, 칼륨을 섞어 감귤 품질향상에 적합한 성분으로 만들어졌다.

액비 사용방법은 설치된 관수장치를 이용해 액비 사용 전에 330㎡당 물 1톤을 관수하고, 사용할 액비를 물과 섞어(10배액 이상) 토양으로 넣고 다시 깨끗한 물 2톤을 관수한다.

당밀제제 액비를 사용하면 기존 재배와 비교해 토양, 잎의 양분변화, 수확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당도는 0.4°Bx가 높고 산 함량은 0.22%가 낮아져 당산비가 우수해 감귤품질이 향상됐다.

또한 액비는 고형비료에 비해 흡수율이 높고 3월부터 10월까지 매월 1회씩 나눠주므로 기존 비료 사용량의 30%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쉽게 비료를 줄 수 있어 농업인의 노동력도 덜 수 있다.

적극적으로 재배기술이 보급된다면 감귤품질이 향상되고 비료값이 줄어들어 수입산 오렌지와의 경쟁에서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감귤 품질향상으로 가격이 10% 상승 시 농가소득은 ha당 12백만 원이 증가되며, 비료값은 연간 1.6백만원/ha이 절약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 한승갑 박사는 “한라봉 등 감귤의 경쟁력은 신맛을 줄이고 당도가 충분히 상승될 수 있는 토양 환경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말하며, “액비 사용 기준 리플릿을 만들어 올 봄부터 농가 보급에 적극 나서겠다”고 전했다.

또한 “염류집적(비료가 토양에 계속 누적)으로 나무가 약해지고, 양분 불균형으로 생리장해가 자주 나타나는 과수원을 중심으로 토양 환경을 개선해 나가는데 더욱 노력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
한승갑 연구사
064-730-417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