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출하체중과 등지방두께 조절로 농가 소득 향상

수원--(뉴스와이어)--출하체중과 등지방두께가 한우 등급과 경락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 자료가 나왔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한우농가 소득향상을 위해 출하체중과 등지방두께에 따른 도체등급 요인 및 경락가격을 축산물품질평가원과 함께 분석했다.

출하체중은 7만3천두에 대하여 50kg 간격으로, 등지방두께는 전국에서 출하된 76만두에 대하여 3mm 간격으로 2009년도 자료를 분석했다.

이 밖에도 도체등급이 처음 적용된 1993년부터 2010년도까지 도체등급 판정요인과 경락가격변화 추세를 성별 및 등급별로 분석했다.

전체 분석구간의 상관분석을 보면 등지방두께가 증가할수록 거세한우 및 암소의 육량등급이 크게 감소되고, 육질등급은 다소 증가했으며, 경락가격의 경우 거세우는 감소하고, 암소는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출하체중의 경우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거세우와 암소 모두 육량등급은 감소하고 육질등급과 경락가격은 약간 상승했다.

특히, 1등급 이상 도체경락단가는 등지방두께가 10mm 미만에서 높게 형성되고 있어 한우농가에서는 동일한 도체중에서도 등지방 두께를 줄이는 노력이 중요하며 출하체중구간별로 총도체가격(경락단가×도체중)대비 투입비용 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이종문 연구관은 “출하된 한우에 대하여 암소, 수소, 거세한우 등 성별과 육질등급별로 경락가격을 분석했기 때문에 동일한 육질등급에서도 소득을 비교해 농가의 사육목표를 정할 수 있다”며 “한우농가에서는 목표를 설정한 후 목표에 따른 개량과 사양, 비육기간, 경영 등 종합적인 축산 기술을 투입한다면 농가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은 앞으로도 생산기술의 발전과 국내·외 시장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체등급 및 경락가격 지표를 주기적으로 보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도체등급 및 경락가격 분석 결과는 국립축산과학원 홈페이지와 축산물품질평가원 홈페이지에서 검색 가능하다.

국립축산과학원 홈페이지 (http://www.nias.go.kr) > 간행물/프로그램 > 630번 : 한우도체등급 요인 및 경락가격

축산물품질평가원 > 등급정보 365+ > 등급정보자료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이종문 연구관
031-290-122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