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서민층 LP가스 사용시설 개선 대폭 확대시행
한국가스안전공사 전북지역본부는 업무를 위탁받아 시공업체를 평가 선정하고 사업추진에 필요한 사전점검과 실시설계를 완료하여 시공업체와 합동으로 5월부터 11월말까지 본격적으로 시설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LP가스를 사용하고 있는 서민층 가스시설은 LPG사용 호스가 노후·경화되고 부적합시설로 인해 사고위험이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이를 관련규정에 적합하도록 압력조정기에서 중간밸브까지 배관으로 교체하고 퓨즈콕(중간밸브) 등의 안전장치를 무료로 설치해 줄 예정이다.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 따르면 주거(주택)용 LP가스 사용시설에 있어 압력조정기에서 중간밸브까지 배관으로 설치하고 퓨즈콕(중간밸브)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또한 가스호스의 길이는 3m 이내로 하고 호스는 T형으로 연결하지 않아야 한다.
2012년까지 다중이용시설 등 주택용 이외의 모든 LP가스 사용시설은 강관배관 등 안전시설을 갖추어야 하고 2015년까지는 모든 주택용(주거용)시설에도 금속배관으로 교체하고 퓨즈콕 등 안전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그동안 전북도에서는 자체 시책사업으로 지난 ‘07년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총 39억원을 투자 15,118세대의 국민기초생활 수급자에 대한 “취약계층 가스시설 리모델링 사업”을 통한 무료 시설개선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과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일정 시간이 되면 가스를 자동으로 차단해주는 “전자식 타이머 콕” 설치를 추가하여 해당 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었다.
정부에서는 가스 안전사고 예방과 에너지복지 구현을 통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국 최초 “취약계층 가스시설 리모델링 사업”을 우수 모범사업으로 선정하여 금년도부터 정부지원 사업으로 전국에 확대 추진하게 되었다.
전북도에서는 한 세대당 평균 20만원 정도가 소요됨에 따라 기초생활수급자에서 차상위가구(자활, 장애, 편부모, 본인부담 경감자 등)로 확대하여 2015년까지 추가로 100억원을 투자 무료 개선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이 같은 서민층의 가스시설 개선은 그동안 가스안전관리의 사각지대였던 노후된 가스시설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광의적으로 서민복지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있는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라북도청 개요
전라북도청은 186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송하진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송하진 도지사는 한국 속의 한국, 생동하는 전라북도를 토대로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 창의롭고 멋스런 문화, 알뜰하게 커가는 경제, 따뜻하고 정다운 복지, 아름답고 청정한 환경을 도정방침으로 정했다.
웹사이트: http://www.jeonbuk.go.kr
연락처
전라북도청 민생경제과
에너지관리담당 엄은걸
063-280-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