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인구주택총조사 자료 분석한 ‘서울여성의 출산과 미혼’ 통계 발표

서울--(뉴스와이어)--서울의 주출산연령층인 25~39세 여성인구가 20년 새 23만4천명이 감소한 가운데 미혼율은 빠르게 증가하고 기혼여성의 출산율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의 출생아 수가 '92년 18만3천명에서 2011년(잠정치) 9만1천명으로 절반으로 뚝 떨어진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미혼율의 경우 2010년 서울의 주출산연령층 여성인구는 130만8천명으로 이 중 절반이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년 전과 비교하면 40만5천명이 늘어났다.

또 같은 연령대 기혼여성의 출산율을 보면, 평균출생아수가 1980년 2.2명에서 2010년 1.4명으로 줄어 2010년 처음으로 한자녀 출생비율이 두자녀 출생비율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통계 웹진인 e-서울통계 57호를 통해 ‘2010 인구주택총조사(통계청)’ 등의 자료를 분석한 ‘서울여성의 출산과 미혼’ 통계를 29일(목) 발표하고, 분석 결과를 보면 당분간 획기적인 출생아수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통계에 따르면 가임연령 여성 가운데 주요 출산연령층에 속하는 25~39세 여성인구가 1990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어, 출산력 기반 자체가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0년 출생아 중 母의 연령으로는 25~39세(주출산연령층)가 94.4% 차지

연령대별로 보면 0~24세 여성은 지난 20년 새 106만2천명(44.9%) 감소, 주요 출산연령층인 25~39세 여성인구는 23만4천명(15.2%) 감소한 반면, 40세 이상 여성인구는 92만명(66.8%) 늘었다.

서울 전체 여성인구는 1990년 528만2천명에서 2010년 490만5천명으로 20년 동안 37만6천명(7.1%) 줄었다.

비중으로 보면, 0~24세 여성은 1990년 44.8%에서 2010년 26.5%로 18.3%p 감소, 25~39세 여성은 같은 기간 29.2%에서 26.7%로 2.5%p 감소, 40세 이상은 26.0%에서 46.8%로 20.8%p 증가했다.

서울시는 저출산 등으로 25~39세 여성 뿐 아니라 24세 이하 여성도 빠른 속도로 줄고 있어 이러한 낮은 출산수준(`11년p 1.01명)이 지속된다면 주출산연령층 여성인구는 계속 감소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0년 통계에 따르면, 모든 연령층에서 미혼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주출산연령층의 미혼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25~39세 여성 중 미혼은 1990년 22만7천명에서 2010년 63만2천명으로 20년 새 40만5천명(178.6%) 늘었으며, 유배우여성은 같은기간 127만9천명에서 64만3천명으로 63만5천명(49.7%) 줄었다.

15세이상 전체 여성 중 미혼여성은 `90년 126만2천명에서 2010년 136만명으로 9만8천명 증가했다.

비중으로 보면, 1990년 25~39세 여성 중 14.7%가 미혼이었으나 2010년 48.3%로 늘어 주출산연령층 여성 2명 중 1명이 미혼이며, 유배우비율은 같은 기간 82.9%에서 49.2%로 줄었다.

통계에 따르면, 기혼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25~39세 기혼여성의 출생자녀 수는 그동안 가장 많았던 두자녀비율을 한자녀가 처음으로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평균출생아 수를 연령별로 보면, 25~39세는 1980년 2.2명에서 2010년 1.4명으로 30년 새 0.8명 감소, 40세 이상 기혼여성은 같은 기간 4.1명에서 2.4명으로 1.7명 감소해, 모든 연령층에서 일관되게 평균 출생아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세이상 전체 기혼여성의 평균출생아 수는 1980년 2.9명에서 2010년 2.1명으로 줄었다.

또한, 2010년 25~39세 기혼여성 중 65.3%는 추가자녀출산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3.1%는 1명, 10.0%는 2명, 1.6%는 3명이상 출산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출생 자녀수별 분포를 연령별로 보면, 25~39세 기혼여성 중 한자녀를 출생한 비율은 늘고, 두자녀 출생 비율은 감소하고 있어, 2010년에는 한자녀 비율이 41.2%로 두자녀 비율(40.6%)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반면, 40세 이상 기혼여성의 출생 자녀수는 두자녀 비율은 늘고, 3자녀이상의 다자녀비율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로 2010년 두자녀비율이 51.9%로 가장 많고, 다자녀비율은 31.6%를 차지했다.

이는, 여성의 학력상승과 경제활동참여 증가, 자녀양육 및 경제적 부담 등으로 인해 결혼 후 자녀출산이 필수였던 전통적 가치관이 결혼과 출산을 선택사항으로 여기는 가치관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출산연령층 여성인구 감소 및 미혼 증가, 기혼여성의 출산율 감소 등으로 출생아수가 줄고 있다. ‘90년 이후 출생아 수가 가장 많았던 ’92년 18만3천명에서 2011년p(잠정치) 9만1천명으로 19년 만에 서울 출생아 수가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한편, 가임여성(15~49세) 1명당 평균 출생아수를 나타내는 합계출산율은 1970년 3.05명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해 '05년에는 최저 수준인 0.92명을 기록했으며, 이후 1.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09년 통계로 보면, 전국 합계출산율은 1.15명으로 OECD 평균 합계출산율(1.74명)보다 낮은 수준이며, 서울은 ‘09년 0.96명으로 이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정보화기획단
정보화기획담당관 정영미
02-6361-314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