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국민계정(잠정)

서울--(뉴스와이어)--2011년 국민계정(잠정)

1. 경제성장 및 실질 국민총소득

2011년중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건설투자가 부진하고 민간소비 및 설비투자 증가율이 낮아졌으나 수출이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여 전년대비 3.6% 성장(전년 : 6.3%)

생산측면에서는 제조업이 수출 증대에 힘입어 견실한 성장을 유지하였으나 농림어업 및 건설업이 감소한 가운데 서비스업 성장세가 둔화

2011년중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년대비 1.5% 증가

2. GDP 디플레이터 등락률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은 수출품 및 내수품 가격상승률이 수입품 가격상승률을 하회함에 따라 전년(3.6%)보다 낮은 1.7%를 기록

3. 경제규모 및 1인당 국민소득

2011년중 국내총생산(명목GDP)은 1,237.1조원으로 전년보다 5.4% 늘어났으며 미국달러기준으로는 환율하락(연평균 △4.2%) 영향이 가세하여 전년대비 10.0% 증가한 11,164억달러를 기록

―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2,489달러로 전년(20,562달러)보다 1,927달러 증가

4. 저축률과 투자율

총저축률은 31.7%로 전년(32.1%)보다 0.4%p 하락하였으며 국내총투자율도 전년(29.6%)에 비해 0.2%p 낮아진 29.4%를 기록

― 민간부문의 총저축률은 24.1%로 전년(24.7%)에 비해 0.6%p 낮아진 반면 정부부문은 전년(7.4%)보다 0.2%p 높아진 7.6%를 기록

가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순저축률*은 2.7%로 전년(3.9%)에 비해 1.2%p 하락

* 자금순환통계가 ‘개인’ 부문을 ‘가계 및 비영리단체’ 부문으로 명칭을 변경(2011. 9월)함에 따라 통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국민계정도 동일하게 부문 명칭을 바꾸었으며 아울러 ‘개인순저축률’은 ‘가계순저축률’로 변경함

Ⅰ. 국내총생산과 지출

1.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생산측면에서는 제조업이 수출 증대에 힘입어 견실한 성장을 유지하였으나 농림어업 및 건설업이 감소한 가운데 서비스업 성장세가 둔화

(1) 농림어업 : -2.0% (전년 : -4.4%)

농업은 전년대비 2.2% 감소
- 재배업은 집중호우 등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전년대비 2.2% 줄었으며 축산업은 구제역 등의 영향으로 2.0% 감소

임업은 식용임산물 작황 악화로 3.0% 줄었으며 어업은 해면어업 부진 등으로 1.4% 감소

(2) 광공업 : +7.1% (전년 : +14.5%)

(가) 광업 : -4.6% (전년 : -8.5%)

비금속광석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4.6% 감소

(나) 제조업 : +7.2% (전년 : +14.7%)

비금속광물이 감소하였으나 전기전자 및 정밀기계가 견실하게 증가한 가운데 일반기계, 운송장비 및 금속제품이 큰 폭 성장하면서 전년대비 7.2% 성장

(3)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 : +2.9% (전년 : +4.3%)

전기업은 전기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낮은 2.1% 증가
가스 및 열공급업은 가스판매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4.4% 성장

(4) 건설업 : -4.6% (전년 : -2.7%)

건물건설은 비주거용 건물건설의 성장세가 둔화된 데다 주거용 건물건설의 부진이 지속되며 전년대비 3.7% 감소
토목건설은 도로, 철도, 항만 등의 부진으로 전년대비 6.8% 감소

(5) 서비스업 : +2.6% (전년 : +3.9%)

부동산 및 임대업, 정보통신업은 전년에 비해 성장세가 확대되었으나 음식숙박업이 감소로 전환한 가운데 도소매업, 운수 및 보관업, 금융보험업, 사업서비스업 등은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전년대비 2.6% 성장

(가) 도소매 및 음식 숙박업 : +4.6% (전년 : +7.1%)

도소매업은 내수 증가세 둔화로 전년보다 낮은 6.1% 성장
음식 숙박업은 음식업 및 숙박업이 모두 부진하여 1.3% 감소

(나) 운수 및 보관업 : +3.8% (전년 : +10.3%)

운수 및 보관업은 제조업 및 수출입 증가율이 낮아져 전년대비 3.8% 증가

(다) 금융 보험 부동산 및 기타서비스업 : +2.0% (전년 : +2.6%)

금융보험업은 주식거래량 감소 등으로 수수료 수입이 줄어 전년대비 1.6% 증가
부동산 및 임대업은 부동산거래 증가로 2.2% 성장
정보통신업은 영화산업 등의 호조로 전년대비 5.5% 증가
사업서비스업은 회계 및 법률서비스 등은 감소하였으나 인력공급업 등이 늘어나 전년대비 1.0% 증가
교육서비스업은 학원 매출 부진 등으로 전년대비 0.2% 소폭 증가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의료비 지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전년보다 낮은 4.6% 성장
문화 및 오락서비스업은 전년대비 1.7% 증가

2.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건설투자가 부진하고 민간소비 및 설비투자 증가율이 낮아졌으나 수출은 높은 증가세 지속

(1) 최종소비지출 : +2.2% (전년 : +4.1%)

민간소비는 전년대비 2.3% 증가
- 내구재와 준내구재에 대한 지출은 견실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비내구재와 서비스에 대한 지출 증가가 둔화되면서 전년대비 2.3% 성장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에 대한 지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며 전년대비 2.1% 증가

(2) 총고정자본형성 : -1.1% (전년 : +5.8%)

(가) 건설투자 : -5.0% (전년 : -3.7%)

건물건설투자는 비주거용 건물건설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주거용 건물건설의 감소폭이 확대되어 전년대비 4.1% 감소
토목건설투자는 도로, 철도, 항만 등의 부진으로 전년대비 6.0% 감소

(나) 설비투자 : +3.7% (전년 : +25.7%)

기계류투자는 전기전자기기, 정밀기기 등의 투자가 증가하여 전년대비 4.1% 증가
운송장비투자는 항공기를 중심으로 전년대비 1.9% 증가

(3) 재고 : 4조 593억원 증가(전년 : 2조 9,241억원 감소)

제조업의 제품 재고 등이 증가

(4)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 : +9.5% (전년 : +14.7%)

재화수출은 자동차, 기계류, 철강 등의 호조로 전년대비 10.5% 증가
서비스수출은 비거주자 가계의 국내소비지출, 사업서비스 등이 늘어 전년대비 2.6% 증가

(5) 재화와 서비스의 수입 : +6.5% (전년 : +17.3%)

재화수입은 음식료품,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8.7% 증가
서비스수입은 운수서비스, 사업서비스 등이 줄어 전년대비 4.6% 감소

3. 실질 국민총소득

2011년중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년대비 1.5% 증가하여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3.6%를 하회
이는 실질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증가하였으나 국제유가 상승, 반도체 가격 하락 등으로 교역조건이 악화되어 실질무역손실규모가 전년에 비해 크게 늘어난 데 기인

Ⅱ. 국민총처분가능소득과 처분

1. 국민총처분가능소득

2011년중 국민총처분가능소득(명목기준)은 1,237.7조원으로 전년대비 5.7% 증가
- 피용자보수는 558.0조원으로 전년보다 6.0% 증가
- 영업잉여는 381.9조원으로 전년보다 5.0% 증가
-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피용자보수의 순지급(1.2조원)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재산소득의 순수취(4.6조원)가 크게 늘어 전년보다 흑자폭이 크게 확대
→ 노동소득분배율은 59.0%로 전년(58.9%)보다 0.1%p 상승
- 순생산 및 수입세는 136.0조원으로 전년보다 2.9% 증가
- 국외순수취경상이전은 순지급 규모가 2.8조원으로 전년에 비해 0.7조원 감소
- 고정자본소모는 161.1조원으로 전년보다 6.8% 증가

2. 처분

국민총처분가능소득(1,237.7조원)중 68.3%인 845.3조원이 소비로 지출(민간 654.9조원, 정부 190.5조원)되고 나머지 31.7%인 392.4조원은 저축으로 남아 투자재원으로 활용

Ⅲ. 저축과 투자

1. 저 축

총저축률은 31.7%로 전년(32.1%)보다 0.4%p 하락
-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전년에 비해 5.7% 늘어난 반면 최종소비지출은 이보다 높은 6.3% 증가한 데 기인
·민간총저축률은 전년(24.7%)보다 0.6%p 하락한 24.1%를 기록
·정부총저축률은 7.6%로 전년(7.4%)에 비해 0.2%p 상승

가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 이하 동일)순저축률은 2.7%로 전년(3.9%)에 비해 1.2%p 하락
- 가계 순저축은 20.8조원으로 전년보다 7.1조원 감소

2. 투자

국내총투자율은 건설투자의 감소 등으로 전년(29.6%)보다 0.2%p 낮은 29.4% 기록

웹사이트: http://www.bok.or.kr

연락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
국민소득총괄팀 연기수
지출국민소득팀 이상용
759-4368, 437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