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빗물펌프장·빗물저류조 설치로 수해방지
<30년 빈도의 빗물펌프장,‘17년까지 88개소 완료하여 수방시설 능력 향상>
이는 서울시 도시수해안전망 종합개선 대책 일환으로 10년 빈도로 되어있는 빗물펌프장 시설 용량을 30년 빈도로 증설하는 사업이다.
빗물펌프장은 ‘10년 9개소, ‘11년 19개소가 완료되었고, ‘12년 12개소가 현재 공사 중에 있다.
현재 공사 중인 빗물펌프장이 완료되면 서울시내 30년 빈도의 빗물펌프장은 47개소로 전체 펌프장의 42%에 달하고, ‘17년까지 88개소 펌프장이 완료되면 79%로 펌프장의 수방시설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17년까지 빗물저류조 총 41개소 설치하여 지역맞춤형 수방시스템 구축>
빗물저류조는 하수관로의 통수능력보다 더 큰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하류지역 저지대의 침수해소를 위해 일시적으로 지하에 빗물을 저장했다가 집중호우가 멈춘 후 빗물을 배출하여 침수를 예방하는 시설이다.
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역특성에 맞고 현실성 있는 수방대책으로 ‘17년까지 총 41개소의 빗물저류조를 설치할 계획이다.
현재 중랑구 망우산 등 16개소에 97,314㎥의 저류시설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향후 ‘12년 3개소, ‘13년 9개소, ‘14년 3개소, ‘15~‘17년 10개소를 순차적으로 총 41개소의 빗물 저류조를 설치하여 빗물저류량을 408.555㎥로 만들어 지역맞춤형 수방시스템을 구축해 나간다.
서울시는 현재 빗물펌프장 16개소와 빗물저류조 6개소 시설물에 대한 신설 및 증설 설계용역을 발주하였다.
이번에 설계용역이 발주되는 빗물펌프장 및 빗물저류조는 ‘12년 설계가 마무리 되어 ‘14년 공사가 완료되면 수방능력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지하철, 지하차도, 지하주택 등 저지대 침수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물막이판, 수중자동펌프, 하수역류 방지시설, 홍수경보시스템 설치 등을 확대해 나간다.
아울러 침수 위험이 높은 지역에는 공무원을 1:1로 연결하는 공무원 돌봄 서비스를 확대하여 집중호우시 침수피해를 방지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고태규 서울시 하천관리과장은 “다가오는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하여 시민밀착형 수방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시민피해 최소화를 위해 우기 전까지 예방차원에서의 모든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도시안전실
하천관리과 박홍봉
02-2115-7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