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도촉법·도정법 조례개정안 입법예고

대전--(뉴스와이어)--대전시는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조례’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 개정안에 대해 지난달 30일 입법에 들어가 오는 19일까지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례 개정은 지난 2월 1일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과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도촉법)’ 개정에 따라 지자체 조례에 위임한 사항을 정하고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후속조치다.

‘대전광역시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조례’ 개정안은 해제된 도시재정비촉진지구(뉴타운지구)에 대해 추진위원회나 조합설립에 동의한 자의 3분의 2 동의가 있을 경우 정비구역 및 추진위·조합의 승계가 가능토록 했다.

이에 따라 재정비촉진사업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일반정비 사업으로 전환해 사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도시재정비촉진사업의 활성화와 토지 등 소유자의 비용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해 시행하는 주택재개발사업의 경우는 재정비촉진사업 시행으로 증가되는 용적률의 임대주택 건설 비율을 25%에서 20%로 완화했다.

특히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된 자치구의 주택재개발사업의 경우 임대주택 세대수에 따라 임대주택 건설 비율(20%)의 최대 100분의 50까지 추가로 완화할 수 있도록 했다.

시는 ‘대전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조례’ 개정안은 추진위원회·조합 설립 구성에 동의한 토지등 소유자 과반수가 동의하면, 추진위원회·조합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해 정비구역지정 후 장기간 사업 추진이 안 돼 불편을 겪는 주민의 불편을 해소할 계획이다.

또 주택재개발사업의 용적률 완화 대상지역을 정하고 완화 받은 용적률의 50% 이상은 소형 주택을 건설해 임대주택 또는 전세주택으로 활용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정비구역 주변 지역에 현저한 주택부족이나 주택시장 불안정이 예상될 때는 1년 범위 내에서 사업시행 및 관리처분인가 시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해 주택시장의 안정화를 꾀할 계획이다.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조례’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이해당사자는 의견을 대전시 도시재생과(fax 600-2869)로 제출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대전시 도시재생과(600-5872 /도촉조례, 3376 /도정도조례)로 문의하면 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조례개정을 통해 그 동안 추진 중인 도시재생사업에 대해 추진 여부를 재검토해 추진이 불가능한 정비지구는 조속히 해제해 시민 불편을 없애는 한편 재생사업과 관련 주택시장 안정화의 조절기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이달 말까지 부패영향평가와 조례규칙심의회 등을 받고 오는 5월 시의회 심의(의결)를 거쳐 6월에 행정안전부와 국토해양부에 사전보고 후 공포 시행하게 된다.

대전광역시청 개요
대전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염홍철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습니다. 대전시는 대전엑스포, 정부대전청사 유치, 유성 관광특구 지정,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정, 현행 대전역 인근의 고속철도 주변 정비사업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해 왔습니다. 또한 버스준공영제와 전국이 부러워하는 복지만두레 시책으로 서민들에게 큰 혜택을 주고있으며, 대전지하철시대 개막, 100년만의 동서관통도로 개통, 각종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및 도심공원화 사업도 착실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염홍철 시장은 대전경제를 위해 서비스산업의 고도화, 의료웰빙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미래 성장동력산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metro.daejeon.kr

연락처

대전광역시 도시재생과
담당자 최영준
042-600-587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