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문제, 이제 지역사회가 적극나서야”

- 청소년자살,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서울--(뉴스와이어)--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10~19세 청소년 자살자는 353명으로 하루에 0.97명 씩 자살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 10대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었다. 또한 OECD국가 중 자살률 1위가 한국인 점을 가만 한다면, 10대들의 자살은 앞으로 더 높아질 전망이다.

문제는 이러한 자살의 문제가 개인 및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청소년관련 문제는 이미 사회적 문제이며, 국가 및 지역사회가 관심을 가져 해결해야 할 문제인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접근하고자 금천구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 중인 금천청소년상담지원센터의 도움을 받아 청소년 문제 상담사례를 통하여 그 실태를 진단하고자 한다.

자살을 시도하는 마음

서울시 금천구에 사는 이 모양(16)은 얼마 전 수면제를 먹고 자살을 시도하였다. 이양은 중학교 1학년 때부터 지속되어온 왕따와 학교폭력으로 학교생활이 원만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한 자살충동을 느꼈다. 또한 아버지의 가정폭력으로 인하여 아버지 몰래 어머니와 집을 나와 지금까지 따로 살고 있다. 아버지의 폭력과 친구들과의 왕따, 학교폭력의 경험은 이양에게 참을 수 없는 고통을 안겨주었고, 이후 이양은 수차례 자살을 기도하였다.

자살은 예방할 수 있다

흔히 자살은 급격하고 충동적이며, 은밀하게 진행된다고 여겨지는 경향이 많다. 하지만 몇 가지 신호를 파악한다면 충분히 막아낼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청소년 자살의 오해와 진실은 다음과 같다.

- 자살 생각이나 계획이 있는 청소년은 자살 의도나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NO. 청소년들은 자살 전에 충분한 신호를 보낸다. 언어적 표현 및 신체적 표현을 유심히 살펴본다면 많은 수의 청소년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 청소년 자살은 계획적이기보다는 충동적인 성향이 많다.
YES. 일반 자살의 경우 충동적이기 보다는 계획적인 자살이 많기는 하지만, 청소년의 경우 충동적 자살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 자살을 결심한 청소년의 자살은 막을 수 없다.
NO. 청소년자살은 충동적인 위기상황을 넘기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 자살은 유전이다.
NO. 가족구성원중에 자살한 가족이 있는 경우의 청소년이 자살위험이 높은 것은 사실이나, 이것이 유전적 요인은 아니다. 오히려 주변 환경이나 가족정서 등의 요인이 더욱 크다.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이 모양이 처음 상담지원센터를 찾아왔을 때 언제 다시 자살을 시도할지 모르는 상황이었다. 과거의 아픈 경험과 부당한 대우에 따른 비관적인 자기애를 돌리기 위하여 적극적인 공감을 통하여 새로운 신뢰관계를 회복하였으며, 우울감이나 자살생각이 날 때마다 긍정적인 생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활동이나 자원들을 발견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살충동이 심각할 경우를 대비하여 자살금지서약서를 작성함으로써 나라는 자아에 대한 자존감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3개월에 걸친 상담이 진행 되고난 후 이양은 심리적인 안정감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고 학업에도 관심을 갖는 등 많은 부분에서 치유가 되었으며 더 이상의 자살충동은 느끼지 않고 있다.

금천구시설관리공단(이사장 이옥형)에서 운영 중인 금천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서는 다양한 홍보활동 및 상담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살예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관내 연계기관 및 CYS-NET(위기청소년지원체계)를 통하여 보다 많은 청소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고, 상담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하여 청소년이 완전히 적응하여 정상적이고 건전한 삶을 영위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금천구시설관리공단 개요
금천구시설관리공단은 2004년 10월 27일 공공시설물의 효율적 관리·운영을 위해 설립된 지방공기업으로 금천구 공영주차장 및 노상주차장 운영, 거주자우선주차제 운영, 부정주차 차량 견인 및 보관, 금천구민문화체육센터·금빛휘트니스센터·금나래문화체육센터·잔디축구장 등 체육시설 운영, 금천구청종합청사 및 금천종합복지타운센터 시설관리, 공공시설물(동주민센터/구립어린이집/구립경로당 등) 시설관리 사업, 현수막게시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gfmc.kr

연락처

금천구시설관리공단
경영지원팀 김선진
02-809-0061~7(309번)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