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전 시장 퇴임 후 한강변 초고층 지구 시가총액 3조 6000여원 날아가
지난해 8월 오세훈 전 시장이 사퇴한 후 그가 전략사업으로 추진한 한강변 초고층 개발 단지들의 수난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서울시가 한강변 아파트를 초고층으로 재건축으로 하는 정비구역 사업에 대해 본격적인 재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는데다 주택시장도 불황을 겪고 있어, 이들 지역의 사업추진을 서울시가 계속 이어갈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뱅크 조사에 따르면 오전시장이 사퇴한 8월부터 현재까지 한강변 초고층 개발 전략사업 및 유도정비구역 내 아파트들의 시가총액은 총 3조 6,172억 750만 원이 빠져나갔다.
한강변 초고층 개발 사업은 서울시가 지난 2009년 2월 ‘한강 공공성 회복 선언’을 통해 한강변 재건축 단지들의 초고층을 허용하는 대신 사업부지의 25% 이상을 기부채납으로 받아 공원, 문화시설 등을 조성해 수변공간의 공공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시작한 사업이다.
당시 서울시는 압구정, 이촌, 여의도, 잠실, 성수, 반포, 구의·자양, 당산 등에 위치한 재건축 단지에 이 같은 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이들 지역은 전통적인 부촌이 많아 지역브랜드가 갖는 의미가 큰데다가 한강변에 위치해 재건축 후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았던 만큼 많은 투자수요가 몰려 가격이 급등했었다.
하지만 주택시장의 장기불황과 사업추진자인 오세훈 시장의 갑작스런 사퇴 후 박원순 시장이 취임하게 되면서 한강변 초고층 지구의 몸값은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지구별로 살펴보면 전략정비구역 내 압구정지구가 1조 3,611억 1,000만 원으로 가장 많이 하락했고, 뒤를 이어 유도정비구역인 반포지구 8,971억 7,500만 원, 잠실지구가 8,047억 9,000만 원, 전략지구인 여의도지구 2,287억 7,500만 원, 이촌지구 2,011억 7,500만 원, 구의·자양지구 1,057억 4,500만 원, 성수지구 326억 원 등의 순으로 떨어졌다. 반면 전략지구인 합정지구는 오히려 141억 6,250만 원이 올랐다.
동으로는 역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시가총액(1조 3,611억 1,000만 원)이 가장 많이 하락했고, 서초구 반포동이 8,365억 9,000만 원, 송파구 잠실동 5,576억 2,500만 원, 신천동 2,471억 6,500만 원, 영등포구 여의도동이 2,287억 5,000만 원, 용산구 이촌동 1,920억 7,500만 원, 광진구 자양동이 1,057억 4,500만 원, 서초구 잠원동 605억 8,500만 원, 성동구 성수동 326억 원 등의 순으로 시가총액이 빠졌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장재현 팀장
02-2185-7341(직)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