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무한돌봄센터 인원 2배로 확대개편
- 4월 정부 희망복지지원단 출범에 따라 358→650여명 확대
-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 맞춤형 복지지원 실현 가능
8일 경기도에 따르면 정부에서 시행하는 희망복지지원단 출범에 따라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근무 인력이 4월 중 기존 358명에서 650여명으로 확대된다. 희망복지지원단은 정부가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사업을 벤치마킹해 전국에서 실시하는 사업으로 경기도는 다른 지자체와 달리 무한돌봄센터라는 고유 브랜드로 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
경기도는 인원 확대에 대비해 지난 3월 무한돌봄, 사례관리, 나눔 문화 등 과 단위의 3개 팀을 출범했으며 시·군 무한돌봄센터 조직을 정비·보강했다.
인원 확대에 따라 무한돌봄센터는 기존 사례관리를 포함한 자원연계, 긴급복지 등으로 업무범위를 확대하고 복지서비스의 통합과 조정기능을 강화할 수 있게 됐으며, 민간전문가 1명으로 운영되던 네트워크 팀에 공무원과 전문요원을 보강, 총총한 현장중심 복지활동이 가능하게 됐다.
경기도는 그간 약 2만 5천 건의 사례관리를 추진, 맞춤형 복지를 실현했으며 민간자원과도 적극 연계하여 2년간 약 180억 원을 지원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 선정 사회정책서비스 전달체계 최우수상,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대상 3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기도 했다.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관계자는 “찾아가는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읍면동 복지인력을 현 1.6명 수준에서 2014년까지 3명 수준으로 확대할 예정”이라며 “13개 부처 292개 복지사업 중 156개의 중복수급 사례를 선정해 공평한 복지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무한돌봄센터는 기존 현금위주 지원에서 통합 사례관리를 통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 서비스 지원이란 점에서 기존 제도와 차별화를 이룬다. 실례로 34세의 젊은 나이지만 지적장애와 건강상태가 허약한 A씨는 거동이 불편한 노모도 모시고 있었다. 발가락 염증, 신용불량, 건강보험료 체납 등 혼자서 해결하기는 모든 게 어려웠다.
무한돌봄센터는 주민센터, 복지관, 자활센터 등과 연계하여 사례회의를 개최하고 다각도로 논의한 결과 기초수급자 책정, 임대주택 신청, 자활센터를 통한 일자리, 기초적인 복지서비스 및 사후 관리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처럼 사례관리를 중심으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면 위기가정이 직접 서비스를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위기가정에 필요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gg.go.kr
연락처
경기도청 무한돌봄센터
031-8008-3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