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10년 만에 인삼 ‘천량’ 개발
농진청에서는 한국인삼공사(KT&G) 민영화 이후 2002년 인삼 육종·재배·토양, 병해충 연구 분야를 이관 받아 새품종 개발에 노력한 끝에 얻은 땀의 결실이다.
국산 인삼 품종은 한국인삼공사에서 민영화 이전에 육종한 것으로 총 9품종이 개발된 바 있다.
이번에 개발한 새품종 ‘천량’은 재산, 재물을 뜻하는 순 우리말로 인삼의 다수확, 안정 생산으로 농가소득 올리는데 기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1999년부터 전국 각지에서 1,000여 점의 인삼 유전자원을 수집해 그 중 우량 계통을 집중적으로 선발하고, 또 선발된 우량 계통을 수차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최종 선발했다.
‘천량’은 기존 품종 ‘천풍’에 비해 수량이 10% 정도 많고 염류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며 고온에도 잘 견디는 등 품질이 좋아 기후 변화에도 적응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았다.
* 염류 : 산(염소, 질산 등)과 염기(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가 결합된 것으로, 염류 농도가 높을 경우 인삼 생육이 위축되고 심하면 말라죽는다.
또한 기억과 학습기능 증진작용에 관여하는 Rg1와 Rg2 등의 사포닌 함량이 특히 높은 특성이 있다.
줄기는 연한 자색이고 열매는 적색이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잎이 아래로 뒤집혀 볼록한 형태를 나타내 다른 품종과 쉽게 구분된다는 점이다.
앞으로 새품종 ‘천량’은 기본식물 양성 등 종자생산체계를 거쳐 종자를 확보한 뒤 2014년부터 우수 농가와 시군농업기술센터 등에 우선 보급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농림수산식품부 인삼 품종보급 사업과 연계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농진청에서는 현재 인삼 품종 90% 정도가 재래종에 의존하고 있는 문제점을 점차 개발된 새품종으로 대체해 빠른 시일 내에 보급률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이로써 최근 인삼 신규재배 면적 감소에 따른 생산량 축소 문제에 기여함과 동시에 인삼농가 소득 향상에도 이바지하게 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 인삼과 차선우 과장은 “기후 변화로 인한 생리장해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삼재배 농가에 수량이 많고 염류에 강한 ‘천량’을 빨리 보급해 원료삼의 안정적 생산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하며, 또한 “국가기관에서 생산한 종자이기에 품종인증에 따라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기존 인삼 종자 가격도 점차 안정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라고 덧붙였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인삼과
김영창 연구사
043-871-5532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