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e-book) 관련 특허출원 증가

대전--(뉴스와이어)--전자책이 베스트셀러 작가의 꿈을 현실로 만들고 있다. 높은 출판 비용이나 유통·홍보비용도 전자책이라면 걱정할 필요 없다. 한사람만을 위한 단 한권의 책을 출판할 수도 있고,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에서 나의 전자책을 선전할 수도 있다.

특허청(청장 이수원)에 따르면, 전자책 관련 특허출원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연도별로는 2006년까지 매년 20여건 정도에 불과했으나, 2007년 34건을 기점으로 꾸준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110건에 이르고 있다.

출원인은 개인이 27%, 중소기업 및 연구소가 37% 그리고 대기업이 32%로서 전반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이며, 외국인 출원은 4% 정도로 미미하다.

세부기술별로는 멀티미디어 동영상 제공, 메모·노트 기능, 종이책의 전자책 변환, 독자 간 정보 공유 등의 전자책 콘텐츠 기술, 터치스크린 등 사용 환경 개선을 위한 단말 기술, 전자책을 이용한 광고 기술, 전자책 대여·관리용 전자 도서관 기술 등의 특허출원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전자책 관련 기술은 단순히 활자를 디지털화하고 종이책 느낌을 구현하는 기술에서 온라인 학습 지원, 1인 출판 지원 같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과 결합하는 방향으로 변모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PwC에 따르면, 세계 전자책 시장은 연평균 34.7%씩 성장하여 2015년에는 123억 달러(도서시장의 1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미국 최대 인터넷 서점인 아마존은 이미 2011년 1월 전자책 매출이 종이책을 능가하였고, 국내 대형 서점 및 인터넷 서점들도 실속형 단말기와 다양한 종류의 전자책을 쏟아내며 전자책 시장의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향후, 초고속 인터넷 및 모바일단말의 대중화로 인해 도서 분야의 콘텐츠 거래는 급속히 사이버 공간상의 유통으로 대체될 전망이다. 또한 전자책 단말기 성능이 진보함에 따라 전자책 콘텐츠는 단순히 문자나 그림을 넘어서 고화질 동영상이나 독자 반응에 연동하는 정보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교육·의료 분야 등에서는 종이책으로 전달할 수 없던 정보까지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신속하고 편리한 거래와 직관적이고 자극적인 정보전달에 익숙한 현대인의 욕구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관련 특허 출원도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허청 개요
특허청은 특허와 실용 신안, 디자인(의장) 및 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 심판 사무를 수행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관, 산업재산정책국, 정보기획국, 고객협력국, 상표디자인심사국, 기계금속건설심사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전기전자심사국, 정보통신심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 특허심판원과 특허청서울사무소,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po.go.kr

연락처

특허청
정보통신심사국 정보심사과
사무관 장진환
042-481-571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