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마한 주요 거점으로 추정되는 영암 성틀봉토성 학술발굴조사

대전--(뉴스와이어)--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용민)는 지난해에 추진한 영산강유역의 고대 성곽 정밀분포조사 결과, 고대 삼한(三韓) 중 마한(馬韓) 사회의 주요 거점으로 추정되는 ‘영암 성틀봉토성’의 축성 시기와 유적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오는 9일부터 이달 말까지 학술발굴(시굴)조사를 시행한다.

영암 성틀봉토성은 영산강유역에 드물게 존재하는 토성으로 거의 완벽한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성의 둘레가 약 190m이고 높이 약 2m, 폭은 약 1.5m로 좁지만 지정학적으로 주변지역이 한눈에 보이는 구릉에 있다. 또 주변에 영암 내동리 고분군 등 다수의 옹관(甕棺·시신을 묻기 위해 특별하게 제작된 토기 관) 고분이 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조사에서 성틀봉토성이 마한의 토성으로 확인되면 영산강유역에서 마한 사회의 주요 거점으로 성곽과 옹관 고분과의 관계를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마한 연구에 중요한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참고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2007년부터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호남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기초조사와 연구 성과를 축적하기 위한 ‘호남지역 문화유산 자원화 학술조사’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061-339-112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