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대표 리포트 ‘RDA Interrobang’ 제61호 발간

수원--(뉴스와이어)--대지에 따스함이 내리는 4월이면 고사리, 취나물, 도라지 등 수백 가지의 산채가 자라나기 시작한다. 봄의 전령, 산채는 봄내음을 품은 향긋한 식재료이자 비타민의 공급처로 우리 민족의 삶과 오랫동안 함께 해오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최근 웰빙 열풍 속에 산채의 가치가 다시 주목받으면서 봄을 대표하는 유기농 채소의 종결자로 쓰임새가 확대되고 있는 ‘봄의 전령, 산채’를 ‘RDA Interrobang’ 제61호에서 집중 분석했다.

산채는 우리 민족의 식탁을 수놓는 다양한 음식의 근간이며, 가장 많은 종류의 산채를 먹는 우리나라에는 480여 종의 산채가 있다.

최근 산채를 재배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산채 재배기술이 개발돼 연중 재배가 가능해졌으며, 산채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음식점들이 인기몰이를 하는 등 산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산채는 햇빛을 좋아하는 정도에 따라 양지에서 자라는 산채와 음지에서 자라는 산채로 구분한다. 또한 먹는 부위에 따라 잎을 먹는 산채, 줄기와 잎을 먹는 산채, 뿌리도 함께 먹는 산채로 구분한다.

특히, 산채는 고유의 맛과 향을 음미하며 먹어야 제 맛인데, 쌈과 나물로 먹는 종류와 삶거나 말려먹는 종류, 장아찌, 진액, 차 등으로 먹는 종류가 있는데 종류별로 알맞은 조리법을 따르는 것이 좋다.

한편, 산채를 채취할 때는 산채와 비슷한 독성식물들도 있기 때 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RDA Interrobang’ 제61호 ‘봄의 전령, 산채’에서는 산채가 색다른 맛으로 입을 즐겁게 해주는 음식으로서 뿐만 아니라 보고, 직접 체험하는 등 산채의 다양한 쓰임새와 가치를 전하고 있다.

맛깔스러운 산채 요리는 산채의 존재 이유이며, 봄을 알리는 별미로 쌈과 나물뿐 아니라 밥, 탕, 무침, 회, 퇴김, 구이 등 여러 음식으로 발달됐고, 현재는 약선음식(藥膳飮食)의 핵심 식재료라며, 특유의 건강 기능성을 보유한 산채들은 약식동원의 유래이자 천연물 신약의 보고이고, 산채를 사철 내내 즐기기 위해 절임과 조림, 차, 술 발효효소 등으로 가공돼 이용된다고 소개했다.

또한 산채의 희귀성과 신선함이 관상용으로도 인기가 높아 식물원, 수목원에서 활용되고 있고, 봄이면 지역마다 산채를 주제로 다양한 축제가 열리고 있으며, 산채는 병·해충·잡초의 발생을 억제해 천연 농약의 소재가 되며, 토양 유실을 방지하는 등 환경농업을 돕는 역할을 한다고 다뤘다.

아울러 우리 민족의 친구에서 웰빙 음식의 핵심이 된 산채의 농업적 발전을 위해 산채의 미래 가치를 위한 연구 개발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즉, 자생식물 중 식용할 수 있는 산채자원을 추가하고, 선호도 높은 산채의 재배기술을 개발해야 하며, 산채가 가진 건강 기능성의 원인물질을 산업화 소재로 발굴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발효음식과 서구화 등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음식 분야에 반영해 이용도를 확대함으로써 산채 고유 가치를 더욱 강화해야 하며, 산채를 지역 관광자원으로 활용한 농촌 체험관광 등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
서종택 연구관
033-330-193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