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중소기업 대상 M2M 사업 지원 본격화

- 국내 최초 3GPP, ETSI 국제 표준에 맞춘 개방형 M2M 플랫폼 개발 완료

- M2M 서비스 개발기간 최대 50% 단축 및 비용 최대 30% 감소 예상

- 4월25일 중소기업 및 개발자 대상 ‘개방형 M2M 플랫폼’ 설명회 개최

뉴스 제공
SK텔레콤 코스피 017670
2012-04-16 08:55
서울--(뉴스와이어)--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하성민, www.sktelecom.com)은 중소기업 및 일반 개발자 등 누구나 M2M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방형 M2M 플랫폼’을 개발 완료하고, 5월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2M’(Machine-to-machine)이란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간에 정보가 수집되고 처리되는 지능형 정보 인프라를 의미하며, 이미 차량관제와 보안, 무선결제, 모니터링 등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기존 M2M 서비스는 개발 기준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아 동일한M2M 서비스의 경우에도 새로운 고객사가 추가될 시에는 시스템의 추가 개발 및 단말기/서버의 연동 등으로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중소 규모 및 개인 개발자의 경우 서비스 개발에 한계가 있었다.

SK텔레콤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개방형 M2M 플랫폼’은 3GPP, ETSI 등 M2M 분야의 국제 표준 규격을 준수한 서버와 단말 플랫폼으로 구성되며, 인터넷 기반의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응용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3GPP :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ETSI :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서버 플랫폼을 통해M2M 단말 제조사, 어플리케이션 개발사 및 개인 개발자 등이 자유롭고 쉽게 M2M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API’를 통해 SMS 전송 등의 SK텔레콤 부가 서비스를 함께 이용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플랫폼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M2M 단말의 소프트웨어를 쉽게 업그레이드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여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사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개방형 M2M 단말 플랫폼’은 공개 운영체제(OS)인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었으며, ’SDK’(Software Development Kit ; 소프트웨어 개발환경)를 무료로 제공하여 M2M 서비스 개발 비용 절감 및 개발 기간 단축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이번 ‘개방형 M2M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 구축 비용은 최대 30%, 개발 기간은 최대 50% 정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플랫폼 자체의 해외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SK텔레콤 강종렬 Network 기술원장은 “그동안M2M 사업은 표준화 되어 있지 않은 사업환경으로 인해 서비스 확산에 제약이 있었으나, 이번 개방형 M2M 플랫폼 제공을 통해 중소기업부터 일반 개발자까지 누구나 M2M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M2M 서비스가 다양화 되고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4월 25일 SK텔레콤 그린빌딩에서 중소기업 및 개발자를 대상으로 ‘개방형 M2M 플랫폼’ 을 소개하는 발표회를 개최하고, 개발자용 M2M 웹 포털과 API 사용 설명서를 5월 중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SK텔레콤 개요
SK텔레콤은 국내 1위의 무선 통신 서비스회사이다. 유·무선 통신 인프라와 AI 및 ICT 경쟁력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유·무선 통신망을 고도화해 안정적인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구독·메타버스·Digital Infra 등 새로운 영역에서 혁신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ktelecom.com

연락처

SK텔레콤 홍보실
02-6100-382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