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없이 초음파로 뇌를 직접 치료한다
- 세계 첫 시도 프로젝트, 미국 이어 한국팀도 성공
- 장진우 교수팀, 중증수전증 환자 2명 시술 손떨림 멈춰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팀은 3월 초 중증 수전증(본태성 진전)환자 2명에게 (MR 유도하) 고집적 초음파뇌수술(MRgFUS ; MR guided Focused Ultrasound)을 시도한 결과 손떨림이 멈추는 등 큰 치료효과를 거뒀다.
고집적초음파술 (MR guided Focused Ultrasound)은 MRI를 통해 뇌 안의 치료부위를 확인한 후 몸 밖에서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머리 안으로 집중시켜 인접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은채 목표한 (뇌)조직만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치료법이다.
이번 고집적초음파술은 과거 초음파는 뼈를 포함한 단단한 조직은 잘 통과하지 못하여 뇌질환의 진단과 치료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기존상식의 뒤엎은 치료법이다. 최근 이스라엘 연구소에 의해 뇌의 심부 영역에 정확하게 고집적 초음파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를 실제 임상에서 기능성 뇌질환인 본태성 수전증 환자의 치료에 응용하고자 임상연구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세계 최초로 초음파를 뇌신경치료에 시도한 이번 프로젝트에는 미국 UVA와 세브란스병원이 공동으로 참여했고, 미국 UVA에서 지난 1월 고집적초음파술을 이용해 수전증환자의 치료에 성공했고, 이어 3월 세브란스병원이 두 명의 환자에게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향후 이러한 수술은 강박장애, 간질, 통증, 뇌종양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올 상반기부터 역시 세계최초로 난치성 강박장애환자에 대한 고집적초음파술(MRgFUS)의 연구가 본 연구팀에 의하여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번 고집적초음파술이 적응될 수 있는 환자는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일상생활에 제한을 줄 수 있는 모든 본태성 수전증 환자들로 고령이나 건강상의 문제로 뇌심부자극술을 비롯한 수술적 치료가 어려운 케이스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과거 수술법과의 차이 및 장점
과거 고주파를 이용한 전기응고술과 뇌심부자극수술을 사용하여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일상생활에 제한을 줄 수 있는 본태성 수전증 환자를 치료하였다.
실제로 수술 효과는 MRgFUS와 전기응고술, 뇌심부자극수술 모두 탁월하다. 하지만 전기응고술과 뇌심부자극수술은 제한적이지만 발생하는 출혈과 감염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아주 고령인 환자와 수술에 제한이 있는 질병이 있는 경우 마땅한 다른 대체방법이 없었다. 최근 이를 극복하고자 감마나이프를 이용한 방사선을 쬐어주어 치료한 시도들이 있으나 초고용량의 방사선에 따른 부작용이 속출하여 시술이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 시술은 개두술이나 절개수술을 하지 않고 또한 감마나이프처럼 방사선에 따른 부작용도 없이 뇌에 정확한 병소를 만들 수 있기에 고령의 환자, 기타 문제가 있는 환자들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수전증이란?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장소에 가서 유심히 관찰하면 드물지 않게 발견될 수 있는 손떨림 증세, 그렇지만 보이는 것보다 훨씬 많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이 증상을 말 그대로 손(手)을 떠는(震顫) 증상(症), 즉 ‘수전증(手顫症)’이라 한다. 이는 질환 자체의 이름이 아니라 어떤 원인이든 손이 떨리는 증상을 총칭한다. 여러 가지 진전증(震顫症) 중에서 유독 수전증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이로 인해 손으로 할 수 있는 방대한 기능이 제한을 받기 때문이며 또한 대부분의 진전증은 수전증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떨림은 손뿐 아니라 머리, 목소리, 다리, 턱 등 몸의 여러 부위에서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 진전증은 어떤 상황에서 주로 생기느냐에 따라 크게 안정시 진전와 활동시 진전으로 나눌 수 있다. 손을 앞으로 쭉 뻗고 손가락을 벌렸을 때, 수저로 국물같은 것을 먹을 때 잘 유발되는 운동시 진전의 경우는 신경계 질환이 없이도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를 과장성 생리적 진전이라고 한다. 생리적으로 인체의 근육들은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미세한 반복 운동을 가지고 있는데 어떠한 외부 요인에 의해 이 반복 운동이 과장 되어져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으로 나타날 때 이것이 떨림증이 되는 것이다. 커피나 홍차를 많이 마신 경우와 과도한 불안증으로 이러한 떨림증을 경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여러 가지 내과적 질환, 예를 들면 저혈당, 갑상선기능항진증, 기타 내분비장애, 여러 가지 신경계 약물 및 호흡기계 약물의 부작용으로도 올 수 있고 알코올 금단, 중금속 중독으로도 진전증이 나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전문적 감별이 필요하다.
비교적 흔하게 운동시 진전을 보이는 질환으로는 본태성 진전이 있다.
[참고]본태성진전은?
운동 장애 질환들 중 가장 흔한 질환. 본태성진전은 나이가 들수록 유병율이 높아지며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발병할 수 있다. 주로 40 - 50 세에서 제일 흔하게 발생하며 20 - 30 대에도 흔하게 발생한다. 발병률은 전체인구의 1%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40세 이상의 인구에서는 5.5%의 유병률을 보이며 60세 이상에서는 더 흔하게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본태성진전이 있어도 증상이 경미하면 병이라고 생각하지 않거나 노환이라고 생각해 병원을 찾지 않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현재 진단된 환자들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본태성진전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장진우
연세대학교 의료원 개요
연세대학교 의료원은 1885년 미국 선교의사 알렌(Dr. H. N. Allen)에 의해 세워진 한국 최초의 현대적 의료기관으로서 광혜원으로 출발하여 제중원, 세브란스병원을 거쳐 현재의 의료원으로 성장하였다. 연세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산하에 교육기관으로는 보건대학원, 간호대학원, 의․치학전문대학원과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이 있으며 현재까지 졸업생은 총 25,985명에 이르고 있다. 또한 진료기관으로는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치과대학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등이 있으며 세브란스병원 산하 암센터, 재활병원, 심장혈관병원, 안․이비인후과병원, 어린이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산하 척추병원, 치과병원, 암병원 등 총 8개의 전문병원이 있다. 의료원 총 직원 수는 의사직 2,000여명, 일반직 5,800여명 등 총 7,800여명 이며 총 병상 수는 3,137병상이다.
웹사이트: http://www.yumc.or.kr
연락처
연세대학교 의료원 미디어홍보실 홍보팀
언론담당 이성만
02-2228-1074
이메일 보내기
-
2017년 2월 3일 0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