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희토류 등 희소금속 수입동향
Ⅰ. 총괄
희토류, 전월대비 수입단가 상승(7%↑), 수입량 증가(41%↑), 중국産 비중 73%
10대 희소금속 중 수입단가 상승 및 수입량 감소세가 동시에 나타난 품목은 전년대비 티타늄·텅스텐·희토류·마그네슘 , 전월대비 리튬·코발트로 주의관찰이 필요함
수입량 감소폭(%)
- (전월대비) 코발트(-14), 리튬(-1.5) 順
- (전년대비) 티타늄(-66), 희토류(-50), 망간(-42), 텅스텐(-34) 順
수입단가 증가폭(%)
- (전월대비) 리튬(9), 희토류(7), 코발트(2), 몰리브덴(1.6), 인듐(1.5) 順
- (전년대비) 티타늄(175), 텅스텐(33), 희토류(13), 리튬(6.5), 마그네슘(0.7)順
Ⅱ. 품목별 동향
희토류 : 전월대비 중국産 수입량 전월대비 41%증가, 단가는 12%하락
(수입량) 당월 217톤 수입, 전월대비 40.7%↑·전년대비 50.4%↓
* 두 달 연속 중국産 크게 증가하며 전체 수입량 증가세
(수입단가) 평균단가 48.25$/kg, 전월대비 7.3%↑·전년대비 12.5%↑
* 중국産 수입단가 12.4% 하락한 반면 일본産 167% 증가하여 전체 7.3% 증가
망간 : 우크라이나産 수입량 141%↑, 수입단가 22%↓
(수입량) 전체 9,226톤 수입, 전월대비 81.8%↑·전년대비 41.8%↓
* 인도産 26% 증가, 우크라이나産 141% 증가하여 전체 82% 증가
(수입단가) 평균단가 1.09$/kg, 전월대비 5.9%↓·전년대비 21.8%↓
* 인도産 7.6% 상승하였으나 우크라이나産 22.2% 하락하며 전체 5.9% 하락
몰리브덴 : 중국産 감소하고 미국·칠레産 수입증가, 단가는 상승
(수입량) 전체 1,370톤 수입, 전월대비 7.0%↑·전년대비 20.5%↓
* 전월대비 중국産 17%감소 반면 미국産 24%·칠레産 39% 증가
(수입단가) 전체평균 19.43$/kg, 전월대비 1.6%↑·전년대비 14.9%↓
* 수입상위 3개국 모두 수입단가 상승하였으나 변화는 크지 않아
코발트 : 전월대비 수입량 13.7% 감소, 수입단가 2.2% 상승
(수입량) 전체 813톤 수입, 전월대비 13.7%↓·전년대비 22.2%↑
* 벨기에産(비중 32%) 15%↓, 중국産(비중 29%) 27%↑, 호주産(비중 23%) 5%↓
(수입단가) 전체평균 26.87$/kg, 전월대비 2.2%↑·전년대비 7.1%↓
* 벨기에産 0.1%, 중국産 6.1%, 호주산 4.4%로 상위 3개국 모두 단가 상승
텅스텐 : 중국産 수입량 크게 감소하였으나 베트남産 신규 유입으로 수입량 증가
(수입량) 전체 104톤 수입, 전월대비 7.0%↑·전년대비 34.4%↓
* 중국産(비중 43%) 전월대비 33% 감소, 일본産(비중 27%) 전월대비 10.1% 증가
(수입단가) 전체평균 61.75$/kg, 전월대비 4.7%↓·전년대비 33.1%↑
* 전월대비 중국·일본産 단가하락과 저가 베트남産 신규 유입으로 단가 하락
티타늄 : 일본·남아공産 수입 크게 증가, 반면 단가는 모두 하락
(수입량) 당월 5,243톤 수입, 전월대비 3.3%↑, 전년대비 66.3%↓
* 전월대비 호주産 소폭 감소했으나 일본·남아공産 크게 증가
(수입단가) 평균단가 7.81$/kg, 전월대비 3.9%↓, 전년대비 174.9%↑
* 상위 3개국 모두 단가 하락 특히, 低價 남아공産 유입 증가로 전체 수입단가 하락
리튬 : 칠레産 92% 차지, 전년대비 수입량 1.5% 감소, 수입단가 8.8% 상승
(수입량) 당월 1,011톤 수입, 전월대비 1.5%↓, 전년대비 21.6%↑
* 수입비중은 칠레産(92%), 중국産(7.6%), 미국産(0.2%)의 順
(수입단가) 평균단가 5.34$/kg, 전월대비 8.8%↑, 전년대비 6.5%↑
* 전월대비 칠레産 5.0% 상승, 중국産 49.1% 상승
마그네슘 : 중국産 99.4%, 전월대비 수입량 83%증가, 수입단가는 1% 하락
(수입량) 전체 1,076톤 수입, 전월대비 82.5%↑·전년대비 6.3%↓
* 중국産 수입량 1,070톤으로 전월대비 83.7%증가, 전체수입의 99.4% 차지
(수입단가) 평균단가 3.00$/kg로, 전월대비 1.3%↓·전년대비 0.7%↑
* 중국産 전월대비 1.6% 하락하여 전체 수입단가 소폭 하락
인듐 : 중국産이 41%, 전월대비 수입량 34% 증가, 수입단가 2% 상승
(수입량) 당월 12톤 수입, 전월대비 33.7%↑·전년대비 53.6%↑
* 전월대비 중국産 45%·일본産 62% 증가
(수입단가) 537.96$/kg, 전월대비 1.5%↑·전년대비 8.7%↓
* 최근 2개월 연속 수입단가 소폭 상승
크롬 : 남아공産 62%, 전월대비 수입량 33% 증가, 수입단가 0.9% 하락
(수입량) 50,079톤 수입, 전월대비 32.9%↑·전년대비 54.3%↑
* 전월대비 남아공産(비중 61.5%) 51.2% 증가, 인도産(비중 32%) 4.6% 증가
(수입단가) 평균단가 1.09$/kg, 전월대비 0.9%↓·전년대비 11.6%↓
* 전월대비 남아공産 3.8% 상승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하락세 지속
Ⅲ. 시 사 점
올해 1월 이후부터 중국産 희토류 수입량 가파르게 상승하며 전월대비 57% 증가, 수입단가는 12% 하락
對중국 수입의존도가 높은 희소금속은 마그네슘(99.4%), 희토류(72.6%), 텅스텐(43.2%), 인듐(40.9%), 몰리브덴(33.7%)의 順
전월대비 수입량이 감소하고 수입단가가 상승한 품목은 전년대비 티타늄·마그네슘·텅스텐, 전월대비 리튬·코발트로 주의관찰 필요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통관기획과
맹철규 사무관
042-481-7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