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사과 개화기’ 과원관리 철저 당부
사과 만개기는 봄철 기상에 의해 크게 달라지는데 만개기 파악은 사과 생육관리의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올해는 봄철 기상변동이 심해 지역에 따라 꽃피는 시기가 작년에 비해 다소 앞당겨질 수도 있다. 또 밤의 저온으로 인해 늦서리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농촌진흥청 사과시험장에서 지난 2월 하순부터 4월 12일까지의 기상 데이터를 근거로 예측한 결과, 올해 사과 주산지 ‘후지’ 품종의 예상 만개일은 의성, 안동, 충주 지역은 4월 28∼29일, 영주, 문경 지역은 5월 2∼3일, 거창은 5월 4∼5일, 장수, 봉화, 제천은 5월 15일 전후인 것으로 추정했다.
올해 꽃피는 시기는 평년과 비슷하거나 1∼2일 정도 늦지만 앞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작년에 비해 3∼4일 빠를 것으로 예측된다.
만개기는 같은 지역이라도 사과원의 위치가 기준 해발고도보다 100m 높으면 2일 정도 늦고, 낮으면 2일 정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해발이라도 지형상 햇빛이 잘 들고 바람이 막히는 남향 경사면은 빠르고, 해발이 낮더라도 분지형태로 밤에 저온이 나타나는 지형에서는 만개기가 늦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과꽃이 필 때 늦서리 피해를 입게 되면 안정적인 수량 확보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늦서리 피해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늦서리 피해는 품질이 우수한 과실 생산을 어렵게 하고 이듬해 생장과 결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늦서리가 상습적으로 내리는 지역의 과수원에서는 재배적 관리를 철저히 하고 결실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인공수분을 해야 한다.
늦서리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미세살수장치를 이용한 살수법, 과원에 바람을 일으켜 따뜻한 공기를 불어주어 피해를 방지하는 송풍법, 과원 내 나무, 왕겨 등을 태워 기온을 높여주는 연소법 등이 있다.
농촌진흥청 사과시험장 박무용 박사는 “봄철 저온피해 상습지나 피해가 예상되는 과원에서는 결실량 확보를 위해 피해 상황을 잘 확인하고 중심 꽃에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곁꽃(側花)이라도 인공수분을 해야 한다.”라고 전하며, “피해가 심할 경우는 열매솎기 대상이라도 수세 유지를 위해 일정량의 과실은 남기고, 잎까지 피해를 입었을 때는 착과량을 줄이고, 꽃이 진 후 10일경에 종합영양제(4종복비)를 잎에 뿌려 수세회복을 꾀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사과시험장
박무용 연구사
054-380-3153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