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재난종합상황실’ 남산에서 신청사로 이전된다
서울시내 재난 관련 본부 역할을 맡고 있는 ‘서울시 재난종합상황실’이 신청사 입주 시기에 맞춰 8월말까지 신청사에 재난종합상황실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재난종합상황실은 각종 재난 발생시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해 유관기관과 시민들에게 전파하며,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과 재난관리 시스템을 가동해 재난상황을 통합 지휘하는 기능을 한다.
현재 남산에서 운영 중인 재난종합상황실은 시설 노후화로 대형화되는 도시형재난을 효율적으로 대응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무엇보다 재난이 실제 발생했을 때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시는 신청사 지하3층에 352㎡의 첨단 재난통합대응시스템을 갖춘 재난종합상황실을 구축한다.
현재 남산 재난종합상황실(242㎡)은 기존 시설을 살려 백업센터 및 119 구급상황관리센터로 공동 활용할 계획이다.
<시민에게 상황실 개방하여 재난관리체험 등 복합공간으로 탈바꿈>
재난종합상황실은 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근무실, 장비실, 다목실로 구성되며, 무엇보다 시민에게 개방되어 시민들이 재난상황을 언제든지 보고, 느낄 수 있고, 학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 꾸며져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내진, 화생방 및 전자폭탄 대비 1등급 시설 내에 위치하여 지진 등의 대형재난 뿐만 아니라 군사적 폭격에도 안전하게 상황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번 신청사 입주시 기존 재난종합상황실 기능 이전 및 각종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 통합하는 1단계 사업을 추진하고, '14년까지는 최신 IT 기술을 활용해 첨단기능을 추가하는 2단계 사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재난종합상황실 구축사업에는 ▴CCTV 영상정보 통합시스템 구축 ▴재난관리 업무재설계 및 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이동형 영상촬영시스템 도입 등이 포함된다.
<933대 CCTV 디지털 영상정보 한눈에, '14년엔 25개 자치구 영상까지 연계>
우선, 도시안전실, 소방방재본부 등 각 기관에서 제각각 운영됐던 총 933대의 CCTV 영상정보를 재난종합상황실에서 한 눈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영상 통합시스템’을 구축, 재난 발생시 발 빠른 정보 파악과 기민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통합대상은 시설관리공단, 소방재난본부, 교통정보센터, 서울시경, 도시안전실 등 5개 기관에서 보유한 CCTV 933대의 영상을, 기존의 아날로그방식에서 디지털방식의 선명한 영상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로써 종합상황실에서 재난현장 및 주변상황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시는 향후 ‘13년~’14년엔 25개 자치구 통합관제센터의 영상 1만 9천여 대를 추가적으로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해 서울시내 전 지역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IS)상에 CCTV 및 중요지점의 위치를 표시해 영상정보 확인시 편리하고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종합관제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사업소차량-현장지휘소 버스가 현장에서 눈과 귀가 되어 상황실로 정보 전달>
재난·재해 발생 시 전방위적인 재난·재해지역의 실시간 현장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형 영상촬영시스템’도 신규 도입한다.
‘이동형 영상촬영시스템’은 도시안전실 도로사업소의 차량에 각각 카메라를 설치해 재난현장의 영상을 촬영한 뒤 재난안전대책본부로 송신한다.
‘이동형 영상촬영시스템’은 주로 대규모재난발생지역 및 CCTV가 설치되지 않아 현장 상황 파악이 어려운 취약지역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또한, 기존의 이동시청 버스를 ‘재난안전대책본부 현장지휘소’로 활용하여 현장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상황실과 화상회의를 통해 상황실의 지휘를 받아 업무를 처리한다.
<'14년까지 첨단 IT 기술 활용한 2단계 종합시스템 고도화 사업 추진>
이러한 1단계 사업에 이어 '14년까지 완료 예정인 2단계 고도화사업에선 재난·재해 분석시스템 구축 등이 추진되며, 시민들이 소셜네트워크 및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난상황신고 및 행동요령 전파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한편, 시는 올해 말까지 재난 관련 전용포털사이트도 구축해 재난발생시 상황전파 및 재난유형별 시민행동요령 등 시민들을 위한 재난정보도 제공할 계획이다.
신상철 서울시 도시안전과장은 “재난종합상황실이 보다 첨단화돼 신청사로 이전·구축되면, 재난·재해 발생 시 정보를 더 빨리 파악하고, 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또한, 상황실을 시민에게 개방하여 재난관리를 체험함으로서 시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도시안전실
도시안전과 임형민
02-2171-2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