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대형마트·SSM 동시휴무 효과분석 설문조사 결과 발표
광주시는 지난 4월22일 대형마트 13개소와 SSM 17개소가 처음으로 동시휴업을 실시함에 따라 23일 시장상인회, 광주YWCA(주부물가모니터단), 광주슈퍼마켓협동조합의 도움을 받아 양동, 남광주, 대인, 무등, 말바우 등 전통시장 5개소 200개 업소와, 중소형슈퍼 118개 업소, 골목상권 182개 업소 등 총 500개 업소를 대상으로, 영업제한 효과, 매출액 증가 및 증가정도, 향후 매출 전망 등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영업제한 효과가 상당히 있다’는 응답이 66개 업소, ‘다소 효과 있다’가 266개 업소로 응답자의 66%인 331개 업소가 긍정적으로 답변했다고 밝혔다.
또한, 매출액 증가에 대하여는 응답자의 58%인 288개 업소가 증가했다고 답변하였고, 매출 증가규모는 10%이하 증가가 208개 업소(42%), 11~20% 증가가 115개 업소(23%)이고, 119개 업소(24%)는 ‘매출 증가가 없었다’고 답변했다.
아직은 시행초기로 ‘제도가 정착되면 점차 매출이 증가될 것으로 본다’는 업소가 379개 업소(76%)이고, ‘그렇지 않을 것이다’라는 답변도 108개 업소(22%)나 되었다.
5개 전통시장의 경우 ‘매출액 증가가 있었다’는 답변이 280개 조사 업체 중 126개소(63%)로 나타났으며, ‘향후 매출액이 증가할 것’이라는 답변이 160개 업소(80%)나 되어, 대형마트·SSM의 의무휴업을 계기로 전통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타났다.
슈퍼의 경우도 118개 조사대상 업소 중 ‘영업제한 효과가 있다’라는 응답이 92개 업소(78%)이며, ‘매출액이 증가되었다’는 응답은 105개 업소(89%)나 되었으며, 다소 규모가 있는 체인점 슈퍼의 경우 조사대상 11개 체인점 모두가(100%) ‘매출액 증가가 있었다’고 답변 했다.
골목상권의 경우 조사대상 182개 업체 중 73개 업소(40%)가 ‘증가가 있었다’고 답변한 반면 ‘그렇지 않다’ 77개 업소, ‘무응답’ 32개 업소 등 60%정도가 ‘매출액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보였다.
광주시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는 대형마트·SSM의 의무휴업 효과를 공식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자료이나 제도 시행기간이 얼마 되지 아니하여 정확한 실태조사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앞으로 3, 4개월 뒤 제도가 정착되면 다시 심도 있는 조사를 해 시책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조사에 협조해 준 광주YWCA, 전통시장상인회, 광주슈퍼마켓협동조합 측에 감사를 드린다”고 밝혔다.
광주광역시청 개요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윤장현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가고 있다. 더불어 사는 광주, 사람중심 생명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wangju.go.kr
연락처
광주광역시 경제산업정책관실
소비자보호담당 박장석
062-613-3750